中, ‘창어 6호’ 발사… “인류 최초로 달 뒷면서 토양 채취 도전”

박지영 기자 2024. 5. 3. 19: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3일(현지 시각) 달 탐사선 '창어 6호'를 쏘아 올렸다.

창어 6호는 인류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 샘플 채취에 도전한다.

창어 6호의 임무는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귀환하는 것이다.

창어 6호가 달 뒷면 샘플 채취에 성공하면 인류 최초의 탐사 성과가 될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3일(현지 시각) 달 탐사선 ‘창어 6호’를 쏘아 올렸다. 창어 6호는 인류 최초로 달 뒷면의 토양 샘플 채취에 도전한다.

‘알려진 세계를 넘어서’… 中 ‘창어 4호’ 착륙에 환호 - 3일 중국 베이징에 있는 우주항공컨트롤센터 관제실에서 국가항천국 연구자들이 달 탐사선 ‘창어 4호’가 달 뒷면에 무사히 착륙하자 기뻐하고 있다(왼쪽). 오른쪽 사진은 미국 뉴호라이즌스호가 촬영한 소행성 울티마 툴리. /조선DB

중국 국가항천국은 이날 오후 5시 27분 하이난성 원창우주발사장에서 창어 6호를 운반로켓 창정(長征)-5 Y8에 실어 발사했다. ‘창어’(嫦娥·항아)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으로, 지난 2004년 시작된 중국 달 탐사 프로젝트의 명칭이기도 하다. 창어 6호는 궤도선·착륙선·상승선·재진입모듈 등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됐다.

창어 6호의 임무는 달 뒷면 샘플을 채취해 지구로 귀환하는 것이다.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달 뒷면의 ‘남극-에이킨 분지’에 착륙해 토양과 암석 등 총 2㎏에 달하는 시료를 채취, 탐사한 뒤 지구로 돌아오는 게 목표다.

이날 발사된 창어 6호는 약 5일 동안의 비행을 거쳐 달 궤도에 진입한 뒤 착륙 준비를 위한 위치 조정을 거쳐 달 착륙을 시도한다. 창어 6호 발사에서 지구 귀환까지는 총 53일 안팎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 달 표면 샘플 채취는 세계적으로 모두 10차례 이뤄졌지만, 모두 달의 앞면에서 진행됐다. 창어 6호가 달 뒷면 샘플 채취에 성공하면 인류 최초의 탐사 성과가 될 전망이다. 중국은 달 탐사 분야에서 미국, 러시아 등에 비해 출발은 늦었지만 2010년대 이후부터는 가장 앞서나가는 국가로 꼽힌다. 중국은 지난 2004년부터 달 탐사 프로젝트를 가동하기 시작했고, 2007년 무인 우주탐사선 창어 1호를 쏘아 올린 뒤 2013년에는 창어 3호를 달 앞면에 착륙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어 창어 4호는 2018년 12월 발사돼 2019년 1월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달 뒷면에 인류 최초로 착륙했다. 이에 중국은 세계 최초로 달 앞면과 뒷면에 모두 착륙하는 데 성공한 국가가 됐다.

지난 2020년에는 창어 5호가 달 토양 시료를 채취해 지구로 귀환하기도 했다. 창어 6호는 당초 창어 5호의 백업용으로 제작됐으나 창어 5호가 미션에 성공하면서 달 뒷면 샘플 채취라는 새로운 임무를 부여받았다. 다만 지금까지 중국이 달에 쏘아 올린 탐사선들은 모두 무인 우주선이다. 중국은 아직 사람을 달 표면에 보내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