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로 풀어낸 관계의 역학…이 영화가 '야한' 이유 [스프]

2024. 5. 3. 09:0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즐레] 젠데이아의 매력, 모르겠다고? 이 영화를 보라 - '챌린저스'


(SBS 연예뉴스 김지혜 기자)

영화 속 삼각 로맨스의 역사는 유구하다. 누벨 바그의 대표 감독인 프랑수아 트뤼포의 '쥴 앤 짐'(1962)을 시초로 수없이 반복, 재생산돼 온 삼각관계 서사는 더 이상 참신함과는 거리가 멀다. 진부한 삼각 로맨스는 어쩔 수밖에 없이 인물의 '선택'에 집중하게 되고, 영화의 성패는 그 선택을 어떤 '방식'으로 그리느냐에 따라 갈린다.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의 신작 '챌린저스'는 흥미로운 각본과 매력적인 배우, 세련된 감각으로 무장한 연출 덕에 한시도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이른바 '욕망 3부작'이라 불리는 영화 '아이 엠 러브', '비거 스플래쉬',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에서 관객의 오감을 깨우는 연출을 보여줬던 구아다니노 감독은 '챌린저스'에서 특유의 감각적인 연출에 박력까지 더해 역동적이면서도 농밀한 로맨스물을 만들어냈다.

US오픈 주니어 대회를 제패하며 차세대 테니스 스타로 각광받았던 '타시'(젠데이아)는 무릎 부상으로 선수 생활을 접고 남편 '아트'(마이크 파이스트)의 코치를 맡고 있다. 메이저 대회 출전을 앞두고 슬럼프에 빠진 남편을 위해 타시는 챌린저급 대회 참가를 제안한다. 무난한 우승으로 남편의 기를 살려줄 계획이었던 타시는 이 대회에서 남편과 둘도 없는 친구 사이이자 자신의 전 연인인 '패트릭'(조쉬 오코너)를 만나게 된다. 대회 결승에서 마주한 아트와 패트릭은 양보할 수 없는 일전을 벌이고, 관중석에서 둘의 플레이를 지켜보던 타시의 묘한 표정과 함께 현재와 과거의 이야기가 교차된다.

테니스에 녹여낸 세 남녀의 삼각 서사 "테니스는 관계"

"테니스는 관계야."

영화는 초반 타시의 입을 빌어 이야기의 주제를 함축한다. '챌린저스'는 스포츠 영화의 구조를 띄고 있지만 관계의 역학을 그린 로맨스 영화다.

테니스는 코트 중앙에 네트를 두고 네트를 넘어온 공이 자신의 진영에 두 번 튀기(바운드) 전에 라켓을 이용해 공을 상대 진영으로 넘기는 스포츠이다. 내가 넘긴 공을 받지 못하게 함으로써 상대를 굴복시키기도 하지만 자신이 넘긴 공이 상대에 닿지도 않은 채 선을 넘어가 스스로 무너지는 경우도 있다.

테니스는 노련한 기술과 강력한 피지컬, 그보다 더 강인한 멘탈을 요구하는 스포츠다. "심리전이 테니스의 모든 것"이라는 말은 그래서 나온 것이다.

'챌린저스'는 사랑 혹은 욕망을 테니스에 대입하고, 승리(쟁취)라는 목적을 향해 맞붙는 세 플레이어의 대결을 시종일관 긴장감 넘치게 묘사한다.


타시와 패트릭, 아트의 삼각관계는 러브 게임이자 심리 게임이다. 패트릭과 아트는 주니어 시절 '불과 얼음'으로 불리며 환상의 복식조를 이뤘다. 극과 극의 속성은 서로의 빈틈을 매워주며 최고의 조합을 이뤘지만 한 여성을 동시에 사랑하며 균열이 생긴다.

패트릭과 아트는 완전히 다른 캐릭터다. 패트릭은 단순하고 즉흥적이지만 아트는 스마트하고 섬세하다. 성격은 사람과의 관계 맺기는 물론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끼친다. 10년 사이에 달라진 그들의 위치가 그것을 증명한다.

챌린저스 결승전은 플레이어인 패트릭와 아트, 관람석에 앉아 있는 타시를 포함한 세 사람의 과거와 현재를 함축한다. 그리고 이 경기의 결과가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지을 것이라는 것을 그들 모두 알고 있다.

영화는 세 사람의 13년에 걸친 연애사를 플래시백으로 보여준다. 플래시백의 빈번한 사용은 영화를 지나치게 설명적으로 만든다는 단점이 있지만 '챌린저스'의 플래시백은 늘어지지 않는다. 오히려 세 사람이 펼치는 심리 게임의 근원과 향방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호기심을 자극하고, 해소시킨다. 13년 전과 8년 전 그리고 불과 하루 전의 일이 현재의 플레이에 영향을 끼치고 때론 지배하는 상황까지 온다.


아트와 패트릭의 양보할 수 없는 결전에서 서로가 서로의 심리를 어떻게 장악하고 활용하는지가 무척이나 흥미롭게 펼쳐진다. 이때 카메라는 크래시 줌(Crash Zoom: 피사체를 향해 갑작스럽고 빠르게 줌인하며 촬영하는 기법)으로 타시의 알 수 없는 표정을 반복적으로 잡는다. 세 사람의 세계에서만큼은 절대자인 인물이지만 구아다니노 감독은 그녀의 감정을 투명하게 보여주지 않는다.

13년 전 세 사람이 호텔 방에서 키스를 나누는 장면은 구아다니노 감독의 '폴리아모리'(다자 연애)에 대한 판타지를 시각화한 것 같기도 하다. 여자 한 명에 남자 둘인 이 불완전한 삼각 구도가 그 순간만큼은 완성형처럼 보인다. 두 사람과의 관계에서 완전한 주도권을 쥐고 싶은 타시의 욕망을 재미난 장난처럼 그려낸 신이지만 이 장면은 세 남녀의 역학 관계에 대한 미리보기이기도 하다.


이 영화에서 테니스는 곧 섹스의 은유다. 챌린저컵 대회 결승전으로 시작해 승부와 함께 마무리되는 이 영화의 구조는 세 남녀가 13년에 걸쳐 만들어 온 관계의 축소판이자, 쓰리섬의 은유기도 하다. 때문에 19금 장면이 거의 없고, 경기 장면이 영화 전체 분량의 50% 이상을 차지함에도 에로틱하게 다가온다. 굳이 비유하자면 타시는 경기의 흐름을 결정짓는 서브의 귀재이며, 아트는 긴 랠리를 끌어갈 수 있는 그라운드 스트로크에 능하고, 패트릭은 결정적 한 방인 스매시 능력이 특출하다. 아트와 패트릭이 주고받는 역동적인 공격과 수비 그리고 객석에 앉아서 이 모든 경기를 조종하고 있는 듯한 타시의 삼각구도는 영화 내내 성적 긴장감을 선사한다.

엔딩 역시 해석하는 재미가 있다. 경기 내내 미묘한 표정을 지으며 두 남자가 벌이는 승부의 추에 오르락내리락하던 타시는 매치 포인트의 순간 비명을 지른다. 승리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가자!"라는 타시의 외침은 무슨 의미인지 관객에 따라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