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24로 실적 재미본 삼성…7월엔 ‘이 제품’도 인공지능 탑재

정호준 기자(jeong.hojun@mk.co.kr), 성승훈 기자(hun1103@mk.co.kr) 2024. 4. 30. 1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가 '모바일 인공지능(AI) 경험'을 갤럭시 플립·폴드·탭으로 확대하며 각 기기별로 최적화된 AI 기능을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세계 첫 AI폰인 갤럭시 S24의 판매 호조의 여세를 모아 다양한 기종으로 AI폰의 영역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웨어러블 신제품과 폼팩터 확대를 통해 '갤럭시 생태계'를 확대하겠다는 것이 삼성전자 목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AI폰’ 갤럭시S24 호조세에
MX 영업익 3조5천억으로 증가
Z폴드·플립6에도 AI 기능 확대
지난해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Z 플립·폴드5 [사진 =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모바일 인공지능(AI) 경험’을 갤럭시 플립·폴드·탭으로 확대하며 각 기기별로 최적화된 AI 기능을 선보인다는 구상이다. 세계 첫 AI폰인 갤럭시 S24의 판매 호조의 여세를 모아 다양한 기종으로 AI폰의 영역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삼성전자가 30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실적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모바일경험(MX) 사업부는 매출 33조5300억원, 영업이익 3조51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에 비해 매출은 34%, 영업이익은 28.5% 늘어난 수준이다.

다니엘 아라우호 삼성전자 MX사업부 상무는 “1분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출하량은 각각 6000만대, 700만대였으며 스마트폰 평균판매단가(ASP)는 336달러(약 46만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전체 시장은 역성장했으나 갤럭시 S24 판매 호조로 성장을 달성했으며 두 자릿수 수익성을 유지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하반기에는 AI 폼팩터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오는 7월 언팩을 통해 갤럭시Z 폴드6·플립6를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라우호 상무는 “플래그십 모델과 폴더블 제품에도 AI 기능을 확대할 것”이라며 “태블릿 PC는 갤럭시탭 S9 시리즈에 AI 기능을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모바일 시장은 하반기 반등을 예상했다. 2분기까지는 비수기가 이어지며 출하량과 ASP가 하락하겠지만, 3분기부터 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아라우호 상무는 “스마트폰 시장은 AI 제품·서비스 확대 등으로 성장이 예상되며 태블릿 PC도 교체 수요에 힘입어 성장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갤럭시 링 실버 시제품 [사진 = 삼성전자]
새로운 웨어러블 기기 ‘갤럭시링’도 하반기에 선보인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워치7과 함께 헬스케어 정확도를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웨어러블 신제품과 폼팩터 확대를 통해 ‘갤럭시 생태계’를 확대하겠다는 것이 삼성전자 목표다.

AI 성능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R&D)에도 나선다. 아라우호 상무는 “외부 상황이 유리하지 않더라도 모바일 AI 경험을 선도하기 위한 R&D 투자를 지속 추진하겠다”며 “폴더블, 태블릿 PC, 웨어러블 등 다양한 폼팩터에 최적화된 AI 기능을 선보일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가전·영상디스플레이(CE·VD) 부문은 매출 13조4800억원, 영업이익 5300억원을 거뒀다. 전년대비 매출은 4%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0.3% 증가한 수준이다. 전반적인 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대형 수요는 탄탄했다. 하반기에도 수요가 크게 늘지는 않겠지만 올림픽 등으로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또 삼성전자의 음성비서 플랫폼 ‘빅스비’에 대규모 언어 모델을 적용해 사람과 대화하듯 자연스러운 음성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하만은 견조한 전장 사업 성장 가운데 포터블 오디오·헤드셋 중심으로 소비자 오디오 판매를 확대하고, 비용 효율화를 통해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경래 삼성전자 VD사업부 상무는 “TV 시장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에 따른 기회 요인도 공존한다”고 밝혔다. 이어 “전략 제품 판매를 확대하면서도 AI 리더십에 집중해 소비자 수요를 공략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