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난 못 이긴 ‘충무로 상징’… 대한극장 66년 만에 막 내린다

송은아 2024. 4. 30. 19: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중구 충무로에서 한국 영화 역사와 함께해온 대한극장이 66년 만에 문을 닫는다.

대한극장은 1958년 서울 충무로에서 1900석 규모의 국내 최대 극장으로 개관했다.

단성사·피카디리와 함께 종로3가 극장가를 이끌었던 서울극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으로 2021년 8월 문을 닫았다.

OTT 인기로 극장을 찾는 발길이 대폭 줄면서 극소수 '1000만 영화'와 관객 몇만 명이 찾는 영화로 시장이 양극화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월 30일 영업 종료 결정
1958년 국내 최대 규모 문 열어
대형스크린·웅장한 사운드 인기
대작 중심 상영 ‘간판극장’ 역할
영화산업 다변화에 적자 부담 ↑
극장건물 문화공간 탈바꿈 예고

서울 중구 충무로에서 한국 영화 역사와 함께해온 대한극장이 66년 만에 문을 닫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확산 등 연이은 악재로 적자를 면치 못한 데 따른 결정이다.

대한극장을 운영하는 세기상사는 30일 전자 공시를 통해 극장사업부(대한극장) 영업을 9월30일 종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기상사는 영업 종료를 결정한 이유로 “영화 상영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로 인한 지속적인 적자 해소”와 “회사 소유 자산의 효율화 및 사업 구조 개선”을 꼽았다. 또 대한극장 영업 종료로 “사업 체질 및 손익 구조 개선 효과”를 기대했다.

1958년 서울 중구 충무로에서 개관해 한국 영화 역사와 함께해온 대한극장이 9월30일을 끝으로 66년 만에 문을 닫는다. 사진은 30일 오후 대한극장 모습. 뉴시스
대한극장은 1958년 서울 충무로에서 1900석 규모의 국내 최대 극장으로 개관했다. 당시 미국 영화사 20세기 폭스의 설계에 따라 건축됐다. ‘벤허’(1959), ‘아라비아의 로렌스’(1962), ‘사운드 오브 뮤직’(1969), ‘킬링필드’(1985) 등 대작 중심으로 상영하면서 충무로의 간판 극장으로 자리 잡았다.

대한극장은 대형 스크린에 웅장한 사운드를 맛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극장으로 인기를 얻었다. 이곳에서는 명작영화를 70㎜ 원본 필름대로 상영할 수 있었다. 당시 ‘벤허’ 같은 영화를 보러 지방에서도 영화팬들이 찾아왔다.

대한극장은 1990년대 후반∼2000년 초 멀티플렉스가 일반화되면서 1차 충격을 받았다. 결국 국내 극장의 멀티플렉스 전환에 발맞춰 2001년 5월 ‘징기스칸’ 상영을 끝으로 휴관했다. 250억원을 투입해 새단장한 후 이듬해 12월 11개 상영관을 갖춘 영화관으로 재개관했다. 그럼에도 국내 영화산업이 멀티플렉스 3사(CJ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사양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 2021년 8월 문을 닫은 서울 종로구 서울극장의 모습. 뉴시스
대한극장에 앞서 서울 종로3가 단관극장들도 비슷한 운명을 맞았다. 단성사·피카디리와 함께 종로3가 극장가를 이끌었던 서울극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으로 2021년 8월 문을 닫았다. 1979년 문을 연 이 극장은 4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피카디리는 2004년부터 대기업 멀티플렉스로 바뀌었다. 단성사는 2010년 리모델링에 들어가 휴관한 이후 이듬해 공사가 중단되며 극장 영업을 하지 않고 있다.

최근 극장업계는 미디어 환경 변화로 대기업 멀티플렉스마저 위기를 겪고 있다. OTT 인기로 극장을 찾는 발길이 대폭 줄면서 극소수 ‘1000만 영화’와 관객 몇만 명이 찾는 영화로 시장이 양극화되고 있다. 100만∼500만 관객을 모으는 중규모 영화는 거의 사라지다시피 했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영화 관객 수는 약 1억2514만명으로 코로나19 이전 연평균의 56% 수준에 그쳤다. 총매출액(1조2614억원)도 코로나 이전의 69%에 불과했다.

문을 닫은 대한극장 건물은 공연장으로 거듭날 전망이다. 세기상사는 “대한극장 빌딩을 개조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머시브 공연인 ‘슬립노모어’를 수익 배분 방식으로 유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머시브 공연은 관객과 객석의 구분을 없애고 서로 넘나들 수 있게 한 관객 참여형 공연이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