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사협회 강경투쟁, 전공의·의대생 불이익만 부를 것

2024. 4. 30.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일부터 대한의사협회를 이끌 임현택 회장 당선자가 강경투쟁을 예고하면서 의정 갈등이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은 병원 복귀 대신 피부성형 강연장을 찾고, 의대 교수들은 이번 주부터 주 1회 휴진에 돌입한다.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자율결정 허용 등 의정 갈등 해결에 진력을 다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참석자들과 인사나누는 임현택 의협 차기 회장 -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차기 회장 당선인이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대한의사협회 제76차 정기대의원 총회에서 참석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내일부터 대한의사협회를 이끌 임현택 회장 당선자가 강경투쟁을 예고하면서 의정 갈등이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은 병원 복귀 대신 피부성형 강연장을 찾고, 의대 교수들은 이번 주부터 주 1회 휴진에 돌입한다. 의료개혁을 거부하는 의사들의 볼썽사나운 행태를 언제까지 봐야 하는지 답답한 노릇이다.

정부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자율결정 허용 등 의정 갈등 해결에 진력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3년간 의협을 이끌 임 회장 당선자는 “의대 증원 찬성 여론이 더 높은 건 정부의 괴벨스식 선동 때문”이라며 “정부가 백지화하지 않으면 의료계는 단 한 발짝도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막무가내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행태는 더 가관이다. 그제 서울에서 열린 한국피부비만성형학회 학술대회는 예년과 달리 참가자의 35%가 전공의들이어서 주목됐다. 이 학술대회는 미용 시술 강연 등을 들으려는 일반 개원의 중심의 연례 학술대회로 전공의는 예년에 10% 정도 참여했으나 이번에는 피부·미용 일반의로 일하려는 전공의들이 그만큼 많았다는 것이다. 지역 및 필수의료 붕괴를 막으려는 의료개혁은 외면한 채 돈벌이에만 관심을 보이는 의사가 점점 늘어나는 것 같아 안타깝다.

국민의 의료개혁 열망을 호도하는 의료계의 행태는 국민의 질타와 분노만 초래하는 일이다. 그동안 정부는 의대생 휴학이나 환자를 팽개치는 의사 행태에도 유급을 막기 위한 유연한 학사 운영과 의사 면허정지 처분 유예 등으로 참아 왔다. 국민의 건강 보호를 위해서였다. 하지만 더이상은 용인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학생들은 수업에 복귀하고 의사들은 정부의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 참여해 의료개혁 논의에 동참하기 바란다.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