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열 하나은행장, ‘내실·협업’ 시너지 극대화…리딩뱅크 수성 자신 [2024 파워 금융인 30]

2024. 4. 29. 11: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취임 2년 차를 맞은 이승열 하나은행장은 '귀를 기울여 경청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최고의 지혜'라는 뜻의 '경청득심'을 좌우명으로 삼고 영업점을 자주 방문해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다.

영업현장을 방문하면 직원들의 고충과 의견을 경청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행장은 하나은행을 더욱 경쟁력 있는 은행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내실과 협업을 올해의 경영 키워드로 내세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4 파워 금융인 30]

이승열 하나은행장 약력: 1963년생. 경북고. 서울대 경제학과. 서울대 경제학과 대학원 석사. 1991년 외환은행 입행. 2021년 하나은행 경영기획&지원그룹장(부행장) 겸 하나금융지주 그룹인사총괄(부사장). 2022년 하나생명보험 대표이사 사장. 2023년 하나은행 은행장(현). 2024년 하나은행장 겸 하나금융지주 미래성장전략부문장·그룹브랜드부문장(현). 사진=하나은행



올해 취임 2년 차를 맞은 이승열 하나은행장은 ‘귀를 기울여 경청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얻는 최고의 지혜’라는 뜻의 ‘경청득심’을 좌우명으로 삼고 영업점을 자주 방문해 현장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다.

평소 소탈한 성격으로 일을 추진할 때 직원들과 충분히 논의하며 합리적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영업현장을 방문하면 직원들의 고충과 의견을 경청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임직원들과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존중과 배려의 기업문화 정착에도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행장은 하나은행을 더욱 경쟁력 있는 은행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내실과 협업을 올해의 경영 키워드로 내세웠다. 하나은행만의 지속가능한 성장모델을 만들고 리테일, 기업금융, 자산관리, 외국환, 자금시장 등 강점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이 행장의 경영철학과 리더십을 바탕으로 국내 1등 은행을 넘어 아시아 1등 은행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하나은행은 2023년 국내 은행 중 가장 우수한 성과지표를 달성했다. 2023년 연간 연결 당기순이익 3조4766억원을 시현하면서 당기순이익에서 1위를 차지했다. 전년 동기 대비 12.3%(3808억원) 증가한 수치다. 우량자산 중심의 대출 성장과 전년 동기 대비 116.1%(5288억원) 증가한 비이자이익 등에 힘입은 결과다.

그래픽=박명규 기자



하나은행은 지난해 5대 시중은행 중 생산성 분야에서 1위(4억1600만원)를 기록했다. 생산성은 직원 1인당 충당금 적립전이익(충전이익)으로, 충당금이나 자산규모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아 은행의 영업 경쟁력을 잘 보여준다. 이는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이 행장이 취임 시 강조했던 손님과 현장, 리스크 관리에 집중한 결과다.

이 행장은 은행의 존재 이유인 ‘손님’에 집중해 모든 과정에서 손님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고민할 것을 임직원들에게 주문했다. ‘현장’ 위주의 영업을 강화해 ‘손님 퍼스트(First)’ 기업문화를 하나은행의 DNA로 뿌리내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전략, 리스크관리, 재무 등 은행 핵심업무를 두루 경험한 능력을 바탕으로 어려운 경제환경 속에서도 선제적인 충당금 반영 및 효율적인 연체관리로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은행 NPL커버리지비율 205.5%, 연체율 0.26%로 양호한 관리 지표를 유지했다.

이 행장은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둔화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자영업자와의 상생과 동반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1월 발표한 약 3557억원 규모의 ‘민생금융지원방안’이 대표적이다. 민생금융지원방안은 소상공인·자영업자 손님 약 30만 명을 대상으로 은행권 공통프로그램인 이자캐시백과 에너지생활비, 통신비, 경영컨설팅 지원 등 은행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자율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하나은행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프로그램인 ‘하나 파워온 스토어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100억원 규모의 ‘소상공인 지원 사업’도 실시하고 있다.



안옥희 기자 ahnoh05@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