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DX, 제조분야 최초 '풀필먼트센터' 물류시스템 구축

박두호 2024. 4. 29. 11: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포스코DX가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협력해 정보기술(IT), 자동화기술(OT), 로봇을 융합한 국내 제조분야 첫 풀필먼트센터(포스코PF센터) 물류시스템의 성공적 구축에 기여했다.

풀필먼트센터는 물류의 주문, 보관, 포장, 배송, 회수, 반품 처리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주로 물류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신속 정확한 배송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봇이 자동으로 자재를 저장하고 피킹하는 큐브형 창고인 오토스토어(Auto Store)

포스코DX가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협력해 정보기술(IT), 자동화기술(OT), 로봇을 융합한 국내 제조분야 첫 풀필먼트센터(포스코PF센터) 물류시스템의 성공적 구축에 기여했다.

풀필먼트센터는 물류의 주문, 보관, 포장, 배송, 회수, 반품 처리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주로 물류 기업들이 소비자들에게 신속 정확한 배송을 위해 활용하고 있다.

포스코는 제철소에 필요한 자재 조달을 위해 제조업 최초로 풀필먼트 개념을 도입했다.

광양제철소는 설비 유지보수에 필요한 자재들을 기존에는 300여개 자재 창고에 분산 운영하고 있었다. 동일 자재들이 창고별로 개별 보관돼 발생하는 비효율과 관리 소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자재 주문부터 재고 관리, 신속 배송까지 토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풀필먼트센터를 구축한 것이다.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지난 8일 광양 국가산업단지에 준공한 포스코 PF센터는 연면적 5만㎡로, 축구장 7개와 비슷한 규모다. 3만 4000개 이상의 셀(Cell)을 통해 대형 자재부터 중, 소형 자재까지 다양한 규격의 자재를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데이터 기반으로 자재 수요를 예측하고, 재고를 관리하는 창고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자재 보관과 배송 관리의 효율성을 높였다.

스태커 크레인을 통해 셀(Cell)에 자재를 자동으로 저장하는 대형 입체선반, 로봇이 자동으로 자재를 저장하고 피킹하는 큐브형 창고인 오토스토어를 도입해 자재 보관의 효율성을 제고했다.

사용자 편의성도 제고했다. 사용자들이 포스코FC센터에 방문하지 않고도 3D 메타버스 환경에서 자재 이미지와 위치를 확인해 주문할 수 있고, 자재 배송현황도 실시간으로 조회 가능하다.

이와 함께 포스코DX는 1년간 500여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인 1.4MW급 태양광 발전설비를 PF센터 지붕에 설치해 포스코FC센터가 친환경 저탄소 물류센터로 운영될 수 있도록 했다.

포스코DX는 국내 물류자동화 시장을 더욱 활발하게 공략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DX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IT시스템 구축부터 설비 자동화, 로봇 엔지니어링까지 회사의 주요 DX 기술들을 융합한 대표적인 레퍼런스를 확보했다”며 “산업용 AI, 디지털트윈, 로봇 등 기술 융합을 통해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축을 리딩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