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세움, 풀콜드체인 韓美 양방향 유통·물류망 열었다

원호섭 기자(wonc@mk.co.kr) 2024. 4. 29. 09: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종합 물류파트너, 콜로세움코퍼레이션이 크로싱 스토리지 서비스(Crossing Storage Services, CSS), 3C 크로스 홀딩스(3C)와 LA 현지 물류센터에서 '한·미 콜드체인 유통·물류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박진수 콜로세움 대표는 "세계 시장에서 직구, 역직구가 활발해지면서 소비에 대한 국경의 한계는 이미 희미해진 상황으로 콜로세움은 한국에서 미국, 미국에서 한국을 잇는 풀콜드체인 리테일 크로스보더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이번 MOU를 체결했다"라며 "콜로세움은 앞으로도 지역의 한계, 물성의 한계, 규모의 한계가 없는 물류망을 강화하기 위해 유망 시장에 공격적으로 물류센터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며 마케팅, 유통체인 입점 등 현지 시장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콜드체인 풀필먼트 CSS·유통부문 3C와 MOU
냉장·냉동 풀콜드체인 크로스보더 프로세스 완성
박진수 콜로세움 대표(왼쪽)와 션 민 CSS·3C 대표가 기념사진 촬영하고 있다. [사진=콜로세움]
글로벌 종합 물류파트너, 콜로세움코퍼레이션이 크로싱 스토리지 서비스(Crossing Storage Services, CSS), 3C 크로스 홀딩스(3C)와 LA 현지 물류센터에서 ‘한·미 콜드체인 유통·물류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MOU는 역직구, 직구 물량이 증가하는 한·미 양국의 현지 물류거점 확보를 통해 난이도 높은 콜드체인 크로스보더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추진됐다. 기존 미국 현지에 상온 물류거점을 운영하고 있던 콜로세움은 이번 MOU를 통해 콜드체인 물류망을 확보하면서 미국 현지와 한국을 잇는 풀콜드체인 리테일 크로스보더 프로세스를 완성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유통망 개척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

CSS는 업력 7년차의 현지 B2B·B2C 콜드체인 풀필먼트 업체로 기본적인 보관 및 피패킹은 물론 픽업, 배송과정을 원스톱으로 연결해 높은 수준의 온도안정성을 보장한다. CSS의 자회사로 유통 부문을 담당할 3C는 미국 현지 오프라인 B2B 유통 전문기업으로 셀러의 현지 판로개척에 지원할 방침이다.

콜로세움은 국내·외 42개소 글로벌 물류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탄탄한 물류서비스를 위해 B2C, B2B, 화물운송, 글로벌 등 각 분야에 최적의 네트워크 물류센터와 파트너십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K-푸드에 대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지금 상온·냉장·냉동을 가리지 않고 국내 물류와 같은 수준의 안정성과 가시성이 확보된 크로스보더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박진수 콜로세움 대표는 “세계 시장에서 직구, 역직구가 활발해지면서 소비에 대한 국경의 한계는 이미 희미해진 상황으로 콜로세움은 한국에서 미국, 미국에서 한국을 잇는 풀콜드체인 리테일 크로스보더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해 이번 MOU를 체결했다”라며 “콜로세움은 앞으로도 지역의 한계, 물성의 한계, 규모의 한계가 없는 물류망을 강화하기 위해 유망 시장에 공격적으로 물류센터 네트워크를 확장할 계획이며 마케팅, 유통체인 입점 등 현지 시장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션 민 CSS·3C 대표는 “콜로세움과의 파트너십으로 양사의 최첨단 IT기술과 미국 시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원활한 협업의 통합이 기대된다”라며 “이와 함께 양사의 종합 역량을 총동원해 한국 기업이 미국 현지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