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석금지'에 버스 오픈런…수도권 '통근러' 분통

안정훈 2024. 4. 26. 18: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5일 오전 6시25분께 인천 송도 신도시 센트럴파크역(인천 도시철도 1호선) 버스 환승센터.

입석이 사라진 M광역버스를 타고 서울로 출근하는 가족들을 데려다주기 위한 정류장 '오픈런'인 셈이다.

인천,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M광역버스는 출발 기점에서 6~7개의 정류장을 돈 뒤 도시고속도로를 타고 서울로 향한다.

이날 센트럴파크역 정류장을 떠난 M6405 버스는 다음 송도자이하버뷰1단지 정류장에서 만차가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인천 시민 출퇴근 전쟁
이른 아침 정류장마다 대기줄
버스 꽉찬 채로 지나치기 일쑤
"태워달라" "뒤차 타라" 실랑이
결국 못 타면 돌고도는 지하철로

지난 25일 오전 6시25분께 인천 송도 신도시 센트럴파크역(인천 도시철도 1호선) 버스 환승센터. 정류장 인근 도로에 승용차가 쉴 새 없이 정차했다. 입석이 사라진 M광역버스를 타고 서울로 출근하는 가족들을 데려다주기 위한 정류장 ‘오픈런’인 셈이다.

승차장에서 줄을 서 있던 직장인 박모씨(36)는 “매일 두 정류장을 반대 방향으로 걸어 기점인 이곳에서 버스를 타야 그나마 앉을 좌석을 확보할 수 있다”며 “6시30분 전에 탑승하지 못하면 서울에 있는 직장에 제시간에 도착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인천, 경기도에서 출발하는 M광역버스는 출발 기점에서 6~7개의 정류장을 돈 뒤 도시고속도로를 타고 서울로 향한다. 요즘 ‘기점 만차’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게 서울로 출퇴근하는 이들의 공통된 불만이다. 출발지 혹은 두세 정거장 만에 차가 가득 차는 관계로 다른 정류장에 대기 중인 승객들은 만석인 버스를 계속 지나쳐 보내야 한다.

이날 센트럴파크역 정류장을 떠난 M6405 버스는 다음 송도자이하버뷰1단지 정류장에서 만차가 됐다. 승객 두 명이 올라타 40석 중 남은 좌석을 채웠고, 승차장에 남은 사람들은 발만 동동 굴렀다.

다음 정류장부터 송도 내 정류장 네 곳을 지날 때마다 운전기사는 팔로 ‘X자’를 보이며 만석임을 알렸다. 버스에서 만난 윤모씨(33)는 “버스를 탄 오늘은 운이 좋은 편”이라며 “지하철을 타려면 더 일찍 나와야 하고, 너무 늦으면 간혹 택시를 탈 때도 있는데, 이땐 서울 강남 직장까지 요금이 5만원을 넘는다”고 했다.

퇴근 시간의 승차난도 심각하긴 마찬가지였다. 이날 오후 6시께 서울 서초역에서 탑승한 M6405 버스는 교대~강남역을 지나며 만차가 됐다. 강남역에 내려 살펴보니 M6724(강남역~김포) 등 광역버스를 타려는 줄로 정류장이 이미 빼곡했다. “태워달라”는 승객과 “못 탄다”는 기사의 승강이도 곳곳에서 벌어졌다. M5107(서울역~광교), M7731(서울 공덕동~고양) 등이 승차난이 특히 심각한 노선으로 알려져 있다.

경기도민, 인천시민들은 “작년까지 출퇴근 시간에 M광역버스는 그나마 입석을 받아줬지만, 올해부턴 사라졌다”고 입을 모은다. 2022년 도입된 입석 금지 제도가 작년 12월 도로교통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본격 적용된 영향이다. 인천의 한 버스 회사 관계자는 “입석 승객을 태웠다 사고가 나면 모두 운수사 책임이라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항의가 빗발치자 정부는 일부 버스를 기점 대신 중간 정류장에서 출발시키거나 좌석을 스마트폰으로 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러나 출퇴근 승객에 비해선 턱없이 작은 규모라 태부족이라는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안정훈 기자 ajh6321@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