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괄호]… 채운다고 답이 되는 건 아닌 걸

오경진 2024. 4. 26.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랑은 실존하는가.

"사랑은 확실히 있어요. 그런데 어디에 있는지는 여전히 물음표예요. 왜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이 동시에 그것이 어디에 있느냐고 물어보는 걸까요."

"물론 뭐라고 딱 말할 순 없는 것이지만 사랑은 '괄호'라고 생각해요. 아무나 채울 수 있고 거기에 모든 걸 다 넣을 수도 있지만 그런다고 답이 되는 건 아니죠. 오리무중인 사랑. 그것도 저에게는 '너무나' 사랑인 것이죠."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이병률 지음/문학과지성사/172쪽/1만 2000원

사랑의 정체를 치열하게 탐구
“확실히 있지만 어딨는지 몰라”
끝맺지 않은 문장 뒤는 독자 몫
“세상 모든 것의 의미 찾아 주는,
스스로 신을 돕는 자라 생각해”

새 시집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으로 돌아온 이병률 시인은 1995년 일간지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29년간 ‘바다는 잘 있습니다’ 등 7권의 시집을 엮었다. 여행산문 작가로도 큰 사랑을 받으며 ‘끌림’,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등을 펴냈다. 이병률 시인 제공

사랑은 실존하는가.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다. 1995년 등단 후 29년간 시와 산문을 오갔던 이병률(57) 시인의 새 시집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은 사랑의 정체를 치열하게 탐구한 흔적으로 읽힌다. 지난 24일 서울 마포구의 한 냉면집에서 시인을 만났다. 그는 2주간의 유럽 여행에서 막 돌아온 참이었다.

“사랑은 확실히 있어요. 그런데 어디에 있는지는 여전히 물음표예요. 왜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이 동시에 그것이 어디에 있느냐고 물어보는 걸까요.”

표제작이기도 한 시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에는 서술어가 없다. 우리말은 끝까지 들어 봐야 한다는데 일부러 문장을 끝맺지 않은 시인은 이 말을 의도적으로 배반하고 있다.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 시들어 죽어 가는 식물 앞에서 주책맞게도 배고파한 적 / 기차역에서 울어 본 적’ 그래서 그래 본 적이 있다는 건지 없다는 건지…. 어쩌면 시인의 경험은 그리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독자가 알아서 자기의 처지를 채워 넣어 읽을 테니까.

“물론 뭐라고 딱 말할 순 없는 것이지만 사랑은 ‘괄호’라고 생각해요. 아무나 채울 수 있고 거기에 모든 걸 다 넣을 수도 있지만 그런다고 답이 되는 건 아니죠. 오리무중인 사랑. 그것도 저에게는 ‘너무나’ 사랑인 것이죠.”

유리창에 찍힌 이마 자국, 무인 빨래방에 쳐진 커튼…. 시인은 우리가 일상에서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것들에 깊이 천착하고 거기에서 시를 길어 올린다. 한국시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거목인 이성복 시인은 시론집 ‘무한화서’에 이렇게 썼다. “입가에 말라붙은 침 자국, 주방 환풍기에 달라붙은 기름때, 변기 앞에 떨어진 오줌 방울…. 세상 모든 의미 없는 것들에게 의미를 되찾아 주는 시인은 신이 버려둔 일을 대신하는 존재예요.” 기자가 이 문장을 환기하자 이병률 역시 깊이 공감했다.

“신을 돕는 자. 저는 그렇게 태어난 사람인 것 같아요. ‘신이 일을 좀 안 하시네’ 생각하는 날 있잖아요. 그래서 어떨 땐 돈도 써야 하고, 꽃도 키워야 하고. 누군가의 심장을 뛰게 하거나 또 누군가에게 울음을 줘야 하는 날도 있는 거죠.”

시집의 끝자락에서 시인은 계속해서 어디론가 떠날 것임을 암시한다. 4부에 실린 시 ‘그네’는 아예 “그래도 가려 합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곧 시집을 덮을 독자에게 전하는 말일까. 그보다도 삶에서 늘 정처를 두지 않고 방랑하며 살아온 시인이 자신에게 다짐하는 말처럼 들린다. 기실 이병률은 ‘끌림’ 등 베스트셀러에 오른 여행산문 작가로도 대중과 호흡하고 있다. 그는 “떠나려고 하는 그 의지에 시의 힘이 있는 것 같다”고도 했다.

“그동안 시인의 삶을 지키며 큰 탈 없이 잘 살아온 것 같아요. 저는 일찌감치 나의 삶을 전하는 방식이 시와 산문 두 개가 있는 거라고 노선을 정했어요. 열이면 열, 읽는 사람마다 길이 다 다른 시는 참 어려운 장르죠. 반대로 산문은 ‘도저히 어려울 수 없는’ 것이겠고요. 사람들이 점점 어려운 걸 하지 않으려는 것 같아요. 그러다 만약 아무도 한국의 시를 읽지 않는 세상이 온다면…. 그때는 나의 여행산문을 통해서라도 시를 계속 알릴 거예요.”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