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마켓+] 수도권 ‘큰손 기부’ 끌어낼 특별 마케팅·답례품 필요

김호석 2024. 4. 26. 00: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마케팅 분석
전남 143억원 모금액 1위…강원 5위
수도권 시민 기부처 ‘전라도’ 상위권
30~50대 연령층 전체 기부 80% 차지
500만원 고액기부자 41% 수도권 거주
수도권 3040· 큰손 기부금 유치 필요
전체 기부자 84% ‘10만원 소액 기부’
농축산물·가공식품 답례품 선호 높아
기부주체·기부액 상향·세제 혜택 등
사회현실 맞춘 제도 개선 필요성 제기

비수도권의 인구 유출과 경제활동인구 감소 등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와 지역 간 발전 격차 문제가 수면위로 오르자 참여정부 이후 재정분권을 추진해 왔으나 지역 간 재정격차는 갈수록 심화되고 지방재정은 열악해진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향에 대한 새로운 기부문화를 확산시키는 한편, 기부금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재원을 확보하고 지역특산품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하고자 지난해 1월부터 ‘고향사랑기부제’가 시행됐다. 25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고향사랑기부제의 모금 실태와 제도 개선방안’을 보면 지난해 기부금 모금 총액은 650억여원으로 약 51만여명이 동참했다.

■ 비수도권 비중 89%… 수도권 기부자 잡아야

지난해 강원지역 고향사랑기부제 참여인원은 4만4293명으로 전체의 8.4% 비중을 차지했다. 모금액은 52억9500만원으로 전국에서 다섯번째로 많았다. 모금 총액 650억 6600만여원을 보면 비수도권과 수도권 비중은 각각 89%와 11%이며, 89개 인구감소지역과 비인구감소지역 비중은 각각 57%와 43%로 나타나 지방재정이 열악한 지역에 고향사랑 기부금이 집중된 것으로 집계됐다. 229개 지자체 중 89개 인구감소지역의 비중은 39%에 불과했지만 모금액의 비중은 57%(341억원)로 고향사랑기부제가 인구소멸위기 지역에 큰 보탬이 된 것이다.

강원지역도 상위권에 속했지만 가장 눈여겨볼 지자체는 전남이다. 기부금이 가장 많이 모금된 광역지자체(본청+시군구)는 전남(143억4000만원)으로 10명 중 2명(22%)은 전남에 기부했다. 이어서 경북(89억9000만원·14%), 전북(84억8000만원·13%), 경남(62억5000만원·10%)으로 전라·경상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상위 10개 기초지자체를 보면 담양군 등 전남지역이 5곳을 차지하는 등 약진했다. 이는 출향민 규모, 모금의 적극성, 홍보전략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추정된다.

전남의 성공 원인은 수도권 시민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점이다. 수도권 지역은 10곳 이상의 타 광역지자체에 고루 기부하는 양상이 관찰된 가운데 거주지와 동일한 광역지자체 내 타 기초지자체에 기부한 비율은 서울(13%), 경기(18%), 인천(15%) 순이다. 기부지역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해도 서울은 25%, 경기는 27%, 인천은 30%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접한 광역시가 없단는 점도 강원에게는 손해였다. 광주에 거주하는 기부자는 전남(68%)에, 대구에 거주하는 기부자는 경북(49%)에 가장 많이 기부해 광역시 시민들은 인접한 도지역에 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거주지역에 따른 기부지역 순위를 보면 서울은 전남(1위), 서울(2위), 전북(위) 순으로 전라지역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경기지역도 경기, 전남, 전북순으로 집계됐고 인천도 인천, 전남, 전북 순으로 수도권에 전남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강원은 강원, 전남, 경기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라지역은 세종(충남, 전북, 전남), 충북(충북, 전북, 전남), 충남(충남, 전남, 전북), 제주(전남, 경기, 경북) 등 타 시도에서도 다수 상위권에 진입하며 고향사랑기부제 홍보가 탁월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 강원 답례품, MZ소비자·고액기부자 마케팅 강화 필요

연령대별로는 30~50대(80%)의 비중이 높았는데 이는 경제활동이 활발한 연령층이 세액공제 혜택 등을 이유로 기부에 관심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령대별 비중은 30대(29%), 40대(27%), 50대(24%), 60대 이상(9%), 20대 이하(11%) 순으로 확인됐다. 연령대별 기부건수 비중은 지역별로 상이했는데 수도권과 비수도권 광역시는 대체로 전국과 유사한 분포(1위 30대, 2위 40대)를 보였으나 전북, 전남 등 비수도권 도지역에서는 40대와 50대의 기부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대구는 60대 이상 기부비중이 20%를 넘어섰다.

수도권의 경우 30·40대 비중이 절반가량 되는 상황에서 연령대가 높을수록 수도권·비수도권 광역시에 기부하는 비중은 감소, 비수도권 도지역에 기부하는 비중은 증가했다. 비수도권인 강원의 경우 수도권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30·40대와 20대의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답례품을 늘리는 등의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고액 기부는 주로 비수도권 도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비한 홍보도 필요한 상황이다. 500만 원의 고액 기부지역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비수도권 도지역의 비중이 93%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지방광역시 5%, 수도권 2%를 차지했다. 광역지자체 수준에서는 전남(30%), 경북(19%), 전북(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00만 원 고액 기부자의 주된 연령층은 60대 이상(50%)이 절반을 차지했고 50대(29%), 40대(11%) 등의 순으로 높고 주로 상반기에 모금(40%)됐다.

특히 고액 기부자의 거주지는 수도권(41%)에 집중됐으며 이들은 대체로 비수도권 도지역에 기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도권 ‘큰손’들이 비수도권에 고향사랑기부제 참여를 선호하는 만큼 강원만의 특별한 강점을 내세워 이를 공략할 필요가 있다.

■ 소액기부자 위한 답례품 마련해야

기부자의 84%는 전액 세액공제 한도인 ‘10만 원(44만1291건)’을 기부했다. 기부건수는 10만 원(83.8%), 1만 원 이하(9.6%) 등의 순으로 많으며, 10만 원 이하의 비중은 97%에 달했다. 그 결과 선호하는 답례품도 저렴한 특산물들이 인기를 얻었다. 지난해 답례품 선택건수 기준으로 농·축산물, 가공식품, 지역사랑상품권 등의 답례품이 가장 인기였다. 농·축산물과 수산물의 비중은 절반 이상(51%)이며, 가공식품의 비중도 29%에 달했다. ‘3만 포인트 이하’ 답례품 선택 비중은 98.3%를 차지했는데 이는 10만 원 이하 소액 기부금의 비중이 높은 것과 관련됐다.

1만 포인트 이하의 ‘소액’ 답례품 선택 비중은 서울이 98%에 달했으며, 인천 49%, 부산 40%로 그 뒤를 이었다. 5만 포인트 초과의 ‘고액’ 답례품을 선택한 비중은 모든 시도에서 대체로 0~1% 내외로 고가의 제품은 외면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 기부자와 30대 이하 연령층은 ‘지역사랑상품권’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수도권 기부자의 답례품은 지역사랑상품권(37%), 농·축산물(32%), 가공식품(23%), 수산물(5%) 등의 순으로 선호가 높았고 30대 이하 연령대는 지역사랑상품권(44%), 60대 이상 연령대는 농·축산물(40%)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수도권 광역시와 도지역에 거주하는 기부자들은 ‘농·축산물’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 기부주체 단계적 확대 등 대안 필요

현재 고향사랑기부금법 제4조에 따라 주민등록 주소지 외 전국 모든 지자체에 기부를 허용하고 있다. 인구감소지역 등 지역과 기부주체의 특성을 고려해 기부주체를 단계적으로 확대해 지역주민(인구감소지역 주민에 한해 적용), 법인 또는 단체(주사무소 소재지 외 기부 허용)로 우선 확대하고 지역주민(인구감소지역과 비인구감소지역 모두 포함), 법인 또는 단체(주사무소 소재지 포함 기부 허용), 재외동포(국내거소신고를 하지 않은 외국국적동포), 외국인 등으로 확대 등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해야할 것으로 평가됐다.

또 기부금액 제한 완화, 하한액 신설로 소액 답례품 지급에 소요되는 지자체 행정비용 절감 필요성이 제기됐다. 지난해 2월 국회 본회의에 개인별 연간 상한액 2000만원 확대안이 의결됐고 일본의 경우 하한액(2000엔)이 신설되기도 했다. 이어 인구감소지역의 세액공제 한도 확대와 은퇴자, 비취업자 등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기부자 대상으로 일정 금액 한도 내에서 답례품을 추가 지급하는 안 등이 제안됐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국민이 인식하는 고향의 공간적 단위(광역·기초 지자체, 읍·면·동, 마을 단위 등)가 연령 등에 따라 다르고, 수도권에서 계속 거주하는 인구비중이 증가하는 상황에 기초지자체와 광역지자체의 모금주체로서 역할이 중복되며 기초지자체 대비 광역지자체의 기부금액이 매우 저조한 상황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기초지자체에 국한해 모금을 허용하거나 광역지자체는 구·군을 통합해 모금하는 방안 등을 중장기적으로 검토해야한다”고 제언했다. 김호석

#답례품 #수도권 #비수도권 #기부자 #광역지자체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