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살자도 용서 … 그리스도 사랑 실천한 기독교인의 발자취

김형주 기자(livebythesun@mk.co.kr) 2024. 4. 25. 17: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40여년 전 한반도에 개신교가 전파된 뒤 기독교인들은 사랑과 용서를 설파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현하려 노력해왔다.

좌익과 인민군이 6·25전쟁 중 살해한 기독교인이 1157명(진실화해위 자료 기준)에 달했지만 많은 기독교인들은 인민군이 물러난 뒤 가해자들에 보복하지 않는 관대한 모습을 보여줬다.

목포에서 고아들을 위해 헌신한 기독교인 윤학자(다우치 지즈코·1912~1968)는 36년의 식민 지배 동안 깊어진 한일 간 감정의 골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메운 사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교총 호남 성지순례 동행취재
6·25때 천명 넘게 학살됐지만
교인들, 좌익 가해자들 용서해
한센병 환자 돌보던 손양원 목사
아들 죽인 가해자를 양자 삼기도
고아 3000명 보살핀 日윤학자
사랑으로 한일 감정의 골 메워
손양원 목사가 원수를 용서하는 조형물.

"아버지, 저 사람들을 용서해 주십시오. 저들은 자기들이 하는 일을 모르고 있습니다."(그리스도가 십자가형을 받은 뒤 하나님에게 외친 말·누가복음 23:34)

140여년 전 한반도에 개신교가 전파된 뒤 기독교인들은 사랑과 용서를 설파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실현하려 노력해왔다. 식민 지배와 이념 대립으로 점철된 한국 근현대사에서 기독교인들은 원수를 용서하고 포용하는 행동을 보여줬다.

지난 22~24일 힌국교회총연합(공동대표회장 이철)은 영광, 신안, 목포, 여수, 순천 등 호남 지역의 기독교 문화유산을 돌아보는 답사를 진행했다.

첫 방문 지역인 영광은 6·25전쟁 당시 남침한 인민군과 좌익 부역자들이 기독교인 수백 명을 학살한 곳이다. 대형 염전이 산재한 염산면 염산교회에서 교인 77명이, 전라도 지역 선교의 아버지 유진 벨(1868~1925)이 세운 야월교회에서 65명이 죽임을 당했다.

염산교회는 기념관을 조성해 당시 인민군이 사용한 죽창과 대검, 학살 장면을 그린 기록화, 피해자 명단 등을 전시하고 있다. 야월교회 역시 순교기념관을 운영하며 교인들의 희생을 기리고 있다. 참사가 일어난 시기에 아홉 살이었던 최종한 야월교회 장로(83)는 기자단에 "당시 우리 가족은 예수님을 믿지 않아서 살아남았지만 교인들은 어린아이까지 새끼줄에 묶인 채 끌려가 죽임을 당했다"며 "현재는 가해자·피해자의 후손들이 함께 교회를 다니며 축복받은 삶을 살고 있다"고 증언했다.

전라남도 영광에 위치한 야월교회 기독교인순교기념관. 김형주 기자

좌익과 인민군이 6·25전쟁 중 살해한 기독교인이 1157명(진실화해위 자료 기준)에 달했지만 많은 기독교인들은 인민군이 물러난 뒤 가해자들에 보복하지 않는 관대한 모습을 보여줬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서였다.

대표적 인물이 여수 애양원교회에서 한센병 환자들을 돌보던 손양원 목사(1902~1950)였다. 손 목사는 1948년 여순사건으로 공산주의자 학생들에게 두 아들을 잃었으나 이후 국군에 붙잡힌 가해자 안재선을 구명해 양자로 삼는다. 안재석을 친자식처럼 대한 손 목사는 1950년 여수를 점령한 인민군에게 죽임을 당하고 안재선은 상주가 돼 의붓동생들과 함께 손 목사의 소천을 배웅한다.

여수시 신풍리에 위치한 손양원 목사 유적공원에는 애양원 역사관과 애양원 교회, 한센병 기념관 등과 함께 손 목사의 일대기와 유품 등을 소개하는 손양원 목사 순교기념관이 있다. 송영오 예양원교회 장로는 취재진에게 "갈등과 분열이 극심한 오늘날의 사회에 손양원 목사의 이야기가 귀감이 됐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목포에서 고아들을 위해 헌신한 기독교인 윤학자(다우치 지즈코·1912~1968)는 36년의 식민 지배 동안 깊어진 한일 간 감정의 골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메운 사례다. 일제 강점기 음악 교사였던 일본인 윤학자는 보육원인 공생원을 만들어 고아들을 돌보는 윤치호 전도사와 결혼한 뒤 1968년에 작고할 때까지 3000여 명의 고아들을 보살폈다. 윤학자는 한일 간 우애를 상징하는 인물이었다. 그의 헌신이 일본 NHK에 방영됐을 때 일본인들의 후원이 이어졌고, 윤학자 가족의 이야기는 최초의 한일 합작 영화 '사랑의 묵시록'으로 제작됐다.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 외국 여성 최초로 대한민국 문화훈장을 받았고, 제1회 목포 시민의 상과 일본 천황의 훈장을 받았다. 1968년 타계했을 때는 목포 시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 지난 10월 윤석열 대통령은 공생원에서 열린 공생복지재단 설립 95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한일 과거사 합의를 이끌어낸) '김대중·오부치 선언'은 바로 이 공생원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목포시 죽교동에 있는 공생원에는 목포시문화유산 제19호인 윤치호·윤학자 기념관, 경향신문이 윤학자를 기리기 위해 1970년 세운 어머니의 탑, 목포 시민들의 성금으로 2003년 만든 사랑의 가족 기념비 등이 존재한다.

[목포·여수·순천·영광 김형주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