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환경성 질환센터’ 내세워 ‘제2의료원’ 설립 돌파구

박귀빈 기자 2024. 4. 23. 16:5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특화 기능 발굴 ‘차별화 전략’ 집중
6월 기재부에 예타 신청 목표 총력
그동안 부족한 부분 보완 기대감↑
서울대병원 영종분원 유치는 난항
신남식 보건복지국장이 23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보건복지국 현안 사업들을 설명하고 있다. 박귀빈기자

 

인천시가 ‘특화 기능’을 장착한 제2의료원 설립에 나선다.

신남식 보건복지국장은 23일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지금까지 보건복지부 등과 보완한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을 하고, 제2의료원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부평구 산곡동 캠프마켓 A구역 일부 4만㎡(1만2천100평)에 총 면적 7만4천863㎡(2만2천646평), 400병상 규모로 제2의료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29년 개원이 목표다.

시는 지난해 11월부터 복지부 등과 제2의료원 설립 타당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왔다. 특히 울산의료원과 광주의료원 등이 비용 대비 편익(B/C)값이 1을 넘지 못하면서 예타를 통과하지 못한 만큼, 시는 제2의료원의 필요성이나 특화 기능 발굴 등 차별화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시는 인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환경성 전문질환센터 등 특화한 치료 및 연구기관을 구상하고 있다.

시는 오는 6월 기획재정부에 예타 신청을 목표로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신 국장은 “광주·울산에 이어 인천까지 예타에서 떨어지면 타격도 크고, 언제 다시 예타를 신청할 수 있을 지 미지수”라고 했다. 이어 “6개월 이상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협의해 온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 중구 영종국제도시의 서울대학교 종합병원 유치는 난항을 겪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21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병원 영종도 분원 유치를 논의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별 다른 결실이 없다. 특히 정부가 수도권에 설립 예정인 6천600병상 규모의 대학병원 분원 설립과 관련, 의사 인력 수급 문제 등을 근거로 부정적인 입장을 표하면서 사업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현재 시는 서울대병원 부지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부지를 확정하더라도 토지이용계획 등 행정절차를 밟는 데만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신 국장은 “현재 의대 2천명 증원에 따른 의사 파업 문제로 올 상반기부터 서울대병원과의 협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인천에 국립대병원이 없는 만큼 서울대병원과 계속 협의, 영종도 분원 유치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박귀빈 기자 pgb028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