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빙하 대부분 녹았다"…작년 아시아 연평균 기온 역대 2번째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2024. 4. 23. 14: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아시아 지역 연평균 지표 온도는 역대 2번째로 높았다.

아시아 지역 해수면 온도는 전 지구 평균 온도보다 3배 빠르게 상승 중이다.

지난해 아시아 지역 기온은 1991~2020년 평균보다 0.91도, 1961~1990년 평균보다 1.87도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시베리아부터 중앙아시아, 동중국부터 일본까지 평균기온이 높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MO, UN 아태 경제사회위에서 작년 아시아 기후현황 공개
일본·카자흐 역사상 가장 따뜻…중국·인도 강수량 '가뭄'
1998~2020년 평균과 비교한 지난해 봄철(3~5월) 평균 적설 범위의 이상현상 분포도(세계기상기구 제공) ⓒ 뉴스1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지난해 아시아 지역 연평균 지표 온도는 역대 2번째로 높았다. 고산지대 빙하 22개 중 20개의 지속적인 질량 감소도 확인됐다. 아시아 지역 해수면 온도는 전 지구 평균 온도보다 3배 빠르게 상승 중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유엔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사회 위원회(UN ESCAP) 제80차 총회를 통해 이런 내용이 담긴 '2023년 아시아 지역 기후현황 보고서'를 23일 발표했다.

지난해 지구 평균기온은 산업화(1850~1900년) 이전과 비교해 1.45±0.12도로, 관측사상 174년 만에 가장 높았다.

여기엔 아시아 지역의 온난화가 크게 한몫 했다.

지난해 아시아 지역 기온은 1991~2020년 평균보다 0.91도, 1961~1990년 평균보다 1.87도 높았다. 근래 기온 상승이 더 가파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다.

지역별로는 서시베리아부터 중앙아시아, 동중국부터 일본까지 평균기온이 높았다. 특히 일본과 카자흐스탄은 역사상 가장 따뜻한 해를 보냈다.

특히 방글라데시와 인도 동부, 중국 남부의 기온이 높았다. 일본에선 관측 사상 가장 더운 여름이었고, 중국에선 기상관측소 70%가 40도를 웃돌았다. 인도에선 4월과 6월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약 110명이 열사병으로 사망했다.

1991~2020년 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본 아시아 전역의 1900~2023년 연평균 기온 상승 분포(기상청 제공) ⓒ 뉴스1

기온이 오르며 빙하가 빠르게 녹았다. 티베트 고원을 중심으로 한 얼음의 후퇴 속도가 주목할 만하다고 세계기상기구는 밝혔다.

구로시오 해류, 아라비아해, 남부 바렌츠해 등의 해수면은 전 지구 평균 해수면 온도보다 3배 이상 빠르게 따뜻해지면서 적도의 열 수송을 빠르게 했다.

기온이 과거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일부 지역의 강수량은 크게 떨어졌다. 중국 남서부와 인도의 강수량도 평균을 밑돌았다.

다만 한국의 장마철 등 한반도 인근의 여름철 몬순 강수량은 평년을 웃돌았다.

줄어든 강수량과 달리 한꺼번에 많은 비가 퍼붓는 호우가 인도와 파키스탄, 네팔에서 발생해 6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아시아 지역 기후위기 대응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는 50% 미만으로, 세계기상기구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ac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