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 '실리콘-질소도핑 카본 복합음극재' 제조기술 개발

강정태 기자 2024. 4. 23. 11: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경남 창원시)은 리튬이온전지 음극재의 고용량·고안정성을 확보하는 '실리콘-질소도핑 카본 복합음극재'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렇게 개발된 '질소도핑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재에 적용하면 리튬이온이 실리콘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높여 충전속도를 높이고 충·방전 싸이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한계 극복 및 음극재의 안정성 대폭 향상
질소도핑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모형을 들고 있는 한국전기연구원 한중탁 박사(왼쪽)와 복합음극재를 들고 있는 KERI 이도근 학생연구원.(전기연 제공)

(창원=뉴스1) 강정태 기자 = 한국전기연구원(KERI·경남 창원시)은 리튬이온전지 음극재의 고용량·고안정성을 확보하는 ‘실리콘-질소도핑 카본 복합음극재’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기술은 나노융합연구센터 한중탁 박사와 이도근 학생연구원이 개발했다.

실리콘은 리튬이온전지의 기존 음극소재인 흑연보다 에너지 밀도가 약 10배 이상 높지만, 지속적인 충·방전 시 부피가 3~4배 팽창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실리콘입자가 쉽게 부서져 전지의 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도 있다.

현재 많은 연구진이 실리콘의 문제를 미래 신소재인 탄소나노소재로 해결해 실리콘의 첨가량을 늘리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중 KERI의 방안은 ‘질소를 도핑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와 ‘그래핀’으로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다중벽과 단일벽으로 나뉘는데, 벽이 1개인 단일벽이 가늘고 투명해 물성과 전기전도성이 좋다. 질소는 리튬이온과 친화도가 높고,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원소다.

KERI는 나노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밀가루를 반죽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분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여기에 해당 기술을 통해 리튬이온을 좋아하는 질소를 탄소 사이사이에 효과적으로 넣는 데까지도 성공했다.

이렇게 개발된 ‘질소도핑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재에 적용하면 리튬이온이 실리콘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높여 충전속도를 높이고 충·방전 싸이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한중탁 박사팀은 음극재 외부를 그물망 구조의 그래핀으로 감싸 실리콘의 부피팽창을 억제하는 안정성도 확보했다.

연구팀은 리튬이온전지 충·방전 100회 실험을 통해 성과의 효과도 확인했다. 그 결과 기존 실리콘 복합음극재가 적용된 리튬이온전지는 30% 정도만 전지 성능이 남은 반면 KERI의 ‘실리콘-질소도핑 카본 복합음극재’가 적용된 전지는 82% 이상 성능을 유지했다.

KERI 한중탁 박사는 “우리의 탄소나노소재 복합음극재는 실리콘의 단점을 메우고, 고용량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며 “전지전극의 전도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 기존에 첨가되던 카본블랙과 같은 도전재를 넣지 않아도 될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기술이 리튬 확산속도가 중요한 ‘전고체전지’ 음극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해당 연구결과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재료공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최근 논문이 게재됐다.

KERI는 개발한 복합음극재가 적용된 리튬이온전지 풀 셀(Full-cell)에 대한 평가를 마무리하고 특허출원까지 완료했다. 이를 기반으로 고용량 리튬이온전지가 필요한 기업에 기술이전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jz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