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점령한 자전거, 전용 주차장 떡 하니 있는데 왜…

이한주 기자 2024. 4. 23. 0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하철역이나 인도에 자전거가 어지럽게 늘어선 모습, 익숙한 장면입니다. 70억을 들여 만든 자전거 주자창도 있지만 이용률은 턱없이 낮습니다.

이한주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4호선 수유역 앞입니다.

자전거가 어지럽게 놓여있습니다.

[시민 : 자전거들이 여기도 많았고, 저기도 많아서 정신없어. 지금 조금 있으면 너무 많아요.]

모두 허락 없이 세워놓은 겁니다.

무인 택배함 앞까지 점령했습니다.

안 그래도 좁은 인도는 더 비좁아졌습니다.

[유태규/서울 우이동 : 자전거 타고 다니시는 분들은 바쁘니까 그냥 제대로 안 놓고 갈 때도 있고. (자전거를) 아무렇게나 놓고 갈 때 (몸에) 걸릴 때도 있죠.]

엉망으로 주차한 건 다른 곳도 마찬가집니다.

아무렇게나 세워둔 자전거들이 입구를 아예 가로막고 있습니다.

주변에 있는 비상 소화전도 둘러싸고 있습니다.

개인소유다 보니 함부로 치울 수도 없습니다.

[구청 관계자 : 저희가 계고장 붙이고 10일 지나면 수거를 하거든요. 한 일주일 정도 기다렸다가 (처분) 공문을 보내고 그리고 한 달도 기다려줘요.]

자전거를 세울 곳이 없는 게 아닙니다.

수유역 바로 옆엔 자전거 전용 주차장이 있습니다.

하루 미만이면 세우는 데 돈도 들지 않습니다.

[홍종욱/서울 강북구 도시관리공단 주차사업팀 : 자전거는 아무 데나 주차해도 된다는 인식의 문제인 것 같아요. 자전거를 주차장에다 꼭 주차해야 한다는 인식에 대한 부족도 있고…]

9호선의 경우 서울시가 70억을 들여 만든 자전거 주차장이 10곳 있습니다.

모두 1,132대를 세울 수 있는데 하루 평균 10대 안팎, 이용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지하철역에 따로 자전거 주차장이 없는 경우는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도로에 세워야 합니다.

[자전거 무단주차 시민 : (주차장이) 있는 거는 알았는데 이게 일반 자전거들이 다 할 수 있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건지 몰랐어요.]

편하게 이용하고 그냥 세워둔 자전거는 도심 속 흉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자전거 주차에 대한 의식 개선과 함께 자전거 주차장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VJ 박태용 / 영상디자인 유정배 / 취재지원 황두길]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