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파업 관계자 출입금지"… 미슐랭 식당, 온라인서 논란

유가인 기자 2024. 4. 22. 15: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의료파업 관계자의 출입을 금지한다는 공지를 올려 논란이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사장 A 씨는 지난 2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포털 예약창에 '의료파업 관계자 출입 금지'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A 씨는 "저희 가게에서는 의료파업에 동참하고 계신 관계자분을 모시고 싶지 않다"며 "정중하게 사양한다. 이 또한 제 선택과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게티이미지뱅크.

한 이탈리안 레스토랑이 의료파업 관계자의 출입을 금지한다는 공지를 올려 논란이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사장 A 씨는 지난 2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포털 예약창에 '의료파업 관계자 출입 금지'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인스타그램 갈무리.

A 씨는 "의료파업의 본질이 무엇인지 묻고 싶다"며 "촌각을 다투는 응급환자의 경우에 신속한 처치가 곧 환자의 생명을 좌우한다. 환자의 생명을 담보로 놓고서까지 쟁취하려는 게 도대체 무엇이냐"고 적었다.

이어 "생명의 존엄 앞에서 왼쪽이니 오른쪽이니 이념이나 사상이 무슨 의미가 있나"라며 "수술대를 찾지못해 병원 응급실에 가서조차도 119에 전화를 해 수소문을 해야 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그는 "그 사람이 당신의 가족이 될 수도 있다"며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개인의 선택은 존중받아야 마땅하지만 최소한의 직업윤리에 대한 사명감마저 저버리는 행동은 비난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A 씨는 "저희 가게에서는 의료파업에 동참하고 계신 관계자분을 모시고 싶지 않다"며 "정중하게 사양한다. 이 또한 제 선택과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인스타그램 갈무리.

이를 접한 의사로 추정되는 네티즌들은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이들은 "시골에서도 미쉐린 먹고 싶은데 미쉐린 취약지역으로 식당 옮겨주실 생각은 없나?", "의사는 진료거부를 못하는데 손님을 가려 받을 수 있다니 부럽다", "본인은 정의로운 척 하지만 정작 이 가게 저녁 코스요리보다 포경수술, CPR, 대장내시경, 위내시경, 대장 용종 절제술 의료 수가가 낮은 게 현실", "소아과 의사 관뒀다. 1세 미만 진료비 500-1400원·1세-6세 미만 700-1500원이다. 1끼 12만 원이면 내가 (소아 환자) 240명을 봐야 먹을 수 있는 음식"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일부 네티즌은 "조만간 가족과 식사하러 가겠다"며 응원하기도 했다.

해당 식당 런치 코스는 1인 7만 원, 디너 코스 12만 원이다. 이곳은 미쉐린(미슐랭) 가이드 서울 2024에 이름을 올렸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