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수혜·실적 선방…건설株, 부동산 PF 발목에도 '꿈틀'

이시은 2024. 4. 22. 13: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들어 침체기를 겪던 건설주가 모처럼 반등했다.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에서 일부 건설사들이 약진하고 있다.

나머지 건설사 1분기 실적이 대부분 시장 예측을 하회할 전망인데도 투자자가 몰린 이유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보다는 지방 주택시장 회복 여부가 추후 건설사들 주가를 결정할 것"이라며 "태영건설 기업구조개선안 실행 과정, 이달 말 발표되는 정부 PF 구조조정 계획 등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들어 침체기를 겪던 건설주가 모처럼 반등했다. 고환율 장기화 수혜와 1분기 실적 선방의 효과를 누렸다는 분석이다. 다만 증권가에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담으로 목표주가를 내리는 등 경계의 목소리가 여전하다.

22일 현대건설은 오후 1시 30분 기준 1.8% 상승한 3만3850원에 거래됐다. 1분기 실적 발표 전인 지난 17일 종가를 기준으론 7.5% 올랐다. 삼성E&A(5.45%) DL이앤씨(3.66%) 대우건설(1.24%) HDC현대산업개발(1.38%) GS건설(1.11%) 등도 이날 상승세다. 중소 건설사이자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되는 일성건설(27.07%) 동신건설(10.94%)까지도 대통령 영수회담 소식에 급등하며 오랜만에 건설주 전반에 온기가 도는 모습이다.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에서 일부 건설사들이 약진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1분기 매출액 8조5453억원, 영업이익 2509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19일 잠정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41.7%, 44.6% 오른 수치로, 시장 예상치를 14.1%, 24.7% 상회했다. 석유화학 플랜트 사업인 아미랄(사우디아라비아), 샤힌(울산) 등 대형 현장 매출 기여도가 커졌다. 삼성E&A는 매출 2조4825억원, 영업이익 1960억원을 기록해 증권가 예측에 대체로 부합할 전망이다. DBNR(맥시코), 사라왁(말레이시아) 화공 플랜트가 매출액의 1조1000억원을 책임진다.

최근의 고환율 기조는 해외 수주가 활발한 건설사들에 유리한 환경이기도 하다. 나머지 건설사 1분기 실적이 대부분 시장 예측을 하회할 전망인데도 투자자가 몰린 이유다. 대우건설은 연내 리비아 패스트트랙 발전 공사와 모잠비크 액화천연가스(LNG) 착공, DL이앤씨는 플랜트 부문 수주잔고가 최근 3년간 5배 늘어난 점 등이 잠재된 주가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GS건설은 지난 3일 사우디 파드힐리 가스 플랜트 증설 공사를 삼성E&A와 수주하기도 했다. 72억2000만달러(약 10조원)짜리 규모다.

다만 건설주를 짓누르는 부동산 PF는 아직도 목표주가가 하향되는 핵심 원인이 되고 있다. 이달 들어서도 현대건설이 두 곳, 대우건설과 GS건설이 한 곳씩 목표주가를 내렸다. 수주 감소 우려 등 개별 사유도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 주택 경기 악화와 원가율 부진·PF 우발채무 불안 등이 언급됐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국내 20개 건설사의 PF 보증액은 작년 말 약 30조원으로 전년 대비 15.6% 늘었다. 한신평은 “분양 경기 침체로 인한 착공 연기, 본PF 전환 지연 등으로 미착공 PF 보증이 해소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실적보다는 지방 주택시장 회복 여부가 추후 건설사들 주가를 결정할 것”이라며 “태영건설 기업구조개선안 실행 과정, 이달 말 발표되는 정부 PF 구조조정 계획 등을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