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식 군복의 경복궁 호위무사… 이건희 기증 작품 첫 공개

전병수 기자 2024. 4. 22. 13: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이 수집해 소장했던 그림이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서화Ⅱ실에서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임진진찬도'(壬辰進饌圖)를 포함해 조선시대 그림과 글씨 24건 36점을 새로 전시한다고 22일 밝혔다.

16세기 중반 한성부 5부 소속 참봉(參奉·조선시대 종9품의 벼슬)들의 모임을 화폭에 담은 이 그림은 한성부 관원 계회도로는 처음으로 알려진 사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서화실서 조선시대 그림·글씨 등 24건 36점 전시
'임진진찬도'(壬辰進饌圖)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 기증품./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에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이 수집해 소장했던 그림이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1892년 당시 제작된 그림 중 유일하게 현재까지 전해지는 그림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서화Ⅱ실에서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임진진찬도’(壬辰進饌圖)를 포함해 조선시대 그림과 글씨 24건 36점을 새로 전시한다고 22일 밝혔다.

8폭 병풍에 담긴 ‘임진진찬도’는 궁중 행사를 남긴 기록유산이다. 1·2폭에는 고종이 문무백관을 초청해 경복궁 근정전에서 연 행사를 그렸는데, 신식 군복 차림의 호위 군사가 등장한다. 궁중 행사를 기록한 이전 그림에서는 볼 수 없는 점으로, 시대적 변화가 담겨있다.

박용훈(1841∼1908 이후) 등 7명의 화가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에는 왕과 왕비가 내명부와 종친을 초청한 모습, 왕세자(훗날 순종)가 관원을 격려하는 모습 등도 그려졌다.

행사를 담당한 진찬소(進饌所) 관원 명단에는 훗날 친일 행적으로 일본으로부터 작위를 받은 민영휘(1852∼1935)가 개명하기 전에 쓰던 이름인 ‘민영준’이 포함돼 있다.

한성부 관리들의 모임을 그린 계회도(契會圖) 역시 처음 공개하는 그림이다. 계회는 과거시험에 합격한 동기 혹은 같은 관청에서 근무한 동료들의 모임 등을 뜻한다. 16세기 중반 한성부 5부 소속 참봉(參奉·조선시대 종9품의 벼슬)들의 모임을 화폭에 담은 이 그림은 한성부 관원 계회도로는 처음으로 알려진 사례다.

당대 최고의 화가가 함께 그린 보물 ‘서직수 초상’도 공개된다. 평소 문학과 예술을 가까이한 것으로 알려진 서직수(1735∼1811)가 62세가 되던 해 제작된 이 그림은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로 꼽히던 이명기(생몰년도 미상)가 얼굴을, 단원 김홍도(1745∼?)가 몸체를 그렸다. 정조(재위 1776∼1800)대에 그려진 초상화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로 꼽힌다.

그림을 본 서직수는 “이명기가 얼굴을 그리고 김홍도가 몸을 그렸다. 두 사람은 이름난 화가들이지만 한 조각 정신(원문에는 마음을 이르는 말인 ‘영대’의 한자인 ‘靈臺’로 적음)은 그려내지 못하였다. 안타깝도다”고 평했다.

이 밖에도 계곡 옆에서 쉬는 사람들을 그린 이인문(1745∼1824 이후)의 ‘소나무 아래 더위 피하기’, 19세기 화가 이한철(1812∼1893 이후) ‘바위에 기대 물을 바라보다’ 등의 작품이 관람객을 맞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