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경의 인사이트] 약세장 장기화 경고등…M7 실적이 답 줄까

윤진섭 기자 2024. 4. 22. 09:40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22일 (월)
[한국] 4월 1~20일 수출입 현황, 디앤디파마텍 공모청약
[산업] 안양시 자율주행버스 '주야로' 시범운행
- 중국 인민은행(PBOC) 4월 대출우대금리(LPR)
- 일론 머스크 인도 방문
- 한국 실적 : JB금융지주, LX세미콘, KG모빌리티

▲23일 (화)
[한국]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민테크 공모청약
[산업]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전시회(EVS37) 개최(~26일 코엑스), 제약바이오화장품 기술전(~26일 킨텍스)
-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 중국 방문
- 미 4월 S&P글로벌 제조업, 서비스업 PMI(예비치)
- 미 3월 신규주택판매·건축허가승인건수
- 유로존 4월 HCOB 제조업, 서비스업 PMI
- 한국 실적 : HD현대일렉트릭, SGC에너지, 부광약품
- 미국 실적 : 버라이즌

▲24일 (수)
[한국] 4월 소비자신뢰지수, 코칩 공모청약
[산업] 한국전자제조산업전X오토모티브월드코리아(~26일 코엑스), 부산국제원자력산업전(~26일 벡스코), 넷마블 아스달연대기 출시, 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베타 테스트
- 미 3월 내구재수주
- 한국 실적 : HD현대건설기계, LG이노텍, LX하우시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물산, 안랩, 유니드, 한화오션, OCI
- 미국 실적 : 테슬라(한국시간 오전 6시 30분)

▲25일 (목)
[한국] 1분기 GDP(예비치),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2차 공매도 토론회, HD현대마린솔루션 공모청약, 에코프로 변경상장(주식분할)
[산업] 베이징모터쇼(오토 차이나),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설립,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본입찰 실시, 중국 과학기술 2024 중관춘 포럼(~29일 베이징), 코베 베이비페어(~28일 코엑스)
- 유럽중앙은행 월례보고서
- 미 1분기 GDP(예비치), 미 3월 잠정주택매매건수
- 한국 실적 : SK하이닉스,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디스플레이, 현대차, 현대글로비스, HD한국조선해양, HD현대, HD현대미포, HD현대중공업, 삼성에스디에스, POSCO홀딩스,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퓨처엠, 포스코DX, KB금융, 제주은행, 한화솔루션
- 미국 실적 : 메타, 램리서치, 보잉, 포드

▲26일 (금)
[한국] 엔젤로보틱스 보호예수 해제
[산업] 코리아 듀티프리 페스타 개최 
- 일본 BOJ 통화정책회의 및 금리결정
- 일본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미 3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한국시간 저녁 9시 30분)
- 한국 실적 : 기아, 현대모비스, GS건설, LIG넥스원, S- Oil, 삼성중공업, 삼성카드, 제일기획,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 미국 실적 : 마이크로소프트(한국시간 오전 6시 30분), 알파벳(한국시간 오전 5시 30분), 아마존, 인텔(한국시간 오전 6시)

[글로벌 증시 리뷰와 분석]

◇ 지난주 국내증시는 시장 급락으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선물 시장에서 외국인이 순매도세를 이어가면서 수급 상황이 좋지 않은데요. 이제 조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봐야 할까요?

- 코스피 2700에서 2500대로…이번주엔 다를까?
- 2022년 레고랜드 사태로 국내 금리·환율 조정
- 2023년 미국채 금리 급등…국내 국고채 동반 상승 
- 2022년·2023년 국내 주식시장 13% 전후로 조정 
- 이스라엘, 이란 재보복…코스피 장중 2550선까지 밀려
- 외국인·기관 동반 대량 매도…코스피 롤러코스터
- 금리인하 전망 후퇴, 중동 리스크 영향 이어질 전망
- “외부 요인들의 불확실성이 증가상황…실적 주목”

◇ 지난주 글로벌 증시도 모두 휘청이는 모습이었습니다. 뉴욕증시는매그니피센트7이 일제히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했는데, 글로벌 증시 성적표도 짚어주신다면요?

- 안전자산 선호 심리↑…글로벌 증시 성적표는?
- 뉴욕증시 엔비디아 10% 급락, 넷플릭스 9% 하락…이유는?
- 글로벌 주식시장 대체로 조정 국면
- 일본·대만·한국·미국 조정폭 커…유럽 증시 상대적 강세
- 뉴욕증시, 중동위험에 M7 급락…나스닥 2%↓마감
- 엔비디아가 급락…시가총액 2조달러 붕괴
- 테슬라, 중국서 모든 모델 가격 인하…가격전쟁에 ‘두 손’
- 테슬라, 재고 증가에 미국서 ‘모델Y’ 가격 2000달러 인하
- 넷플릭스 호실적에도…성장 둔화·한계 우려에 주가 하락
- '이스라엘 이란 공격'에 아시아 증시 휘청
- 글로벌 증시 위기…이번엔 닛케이·S&P ELS 손실 공포
- 대만 증시, 중동정세·반도체 우려로 주가 곤두박질

◇ 지난주 시장을 끌어내린 악재가 한둘이 아니었습니다. 금리인하 지연에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시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시장 조정의 가장 큰 원인은 뭐라고 보시나요?

- 글로벌 증시 급락…시장 조정의 원인은?
- 미국 3월 CPI 강세에 따른 금리 반등 현실화
- 이스라엘·이란 전쟁 공포 확산…위험 회피 심리↑
- 이스라엘·이란 추가 분쟁시…외국인 국내 증시 이탈 가속화
- 중동 분쟁이 격화하면 달러 강세가 더욱 심화할수도

◇ 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도 투자자들의 현금 보유비중은 역대 최저치라는데요. 그만큼 주식에 많은 돈이 들어가 있다는 뜻인데, 이대로 괜찮을까요?

- 글로벌 투자자들 현금 보유 최저…안심해도 될까
- 글로벌 투자자들의 현금 보유 비중은 역발상 지표
- 현금 보유 비중 4월 4.2%로 하락 임계점인 4%에 근접
- 투자자들의 위험선호 심리 최대치로…변동성 취약

◇ 엔비디아 주가가 폭락하며 뉴욕증시 변동성이 커진 가운데 이번주엔 빅테크 기업 실적 발표가 쏟아질 예정이죠. 과연 주요기업들의 실적이 증시의 추가 하락을 방어할지가 관심사인데,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 증시 불안은 지속…'M7 실적'이 답 줄까
- 미국 빅테크 실적 공개…반도체 투심 좌우할듯
- JP모건, 순이자이익 부진 전망에 주가 급락
- ASML, 1분기 매출·수주 부진…중국 매출이 절반 차지
- TSMC 1분기 '깜짝 실적'…"2분기 이후는 장담 못해“
- 반도체 수요 회복세 지연 우려…메모리 성장률 10% 그쳐
- M7 40%대, M5 60%대 전년동기비 이익증가률 기대

◇ 지난주 글로벌증시 약세장에서도 눈에 띄었던 것이 유럽증시입니다. 최근 미국 증시와도 디커플링되는 모습을 보이며 선방하고 있는데, 이유가 뭔가요?

- 글로벌 약세장에서도 빛난 유럽증시…이유는?
- 유럽증시, 기업실적 호조 등 영향 일제히 올라
- ‘기준 금리 인하’ 엇갈린 유럽- 미 중앙은행
- 유럽, 6월부터 3회 인하 가능성 열어두고 있어
- ECB 총재 "큰 충격 없으면 곧 금리인하“
- 유럽 6월 첫 인하 기정사실화…"석유시장 반응 온건“
- 유로존 인플레이션은 둔화세, 경제는 침체 조짐

◇ 다시 튀어 오르는 물가로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가 후퇴하는 것과 달리 유럽은 오는 6월을 시작으로 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미국과 유럽의 이런 금리 디커플링 현상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 미국- 유럽 심화하는 ‘디커플링 통화정책’?
- 경제성장률 격차로 미국- 유럽간 온도차 발생
- 미국, 경기 강세로 ‘노랜딩’ 시나리오 강화
- 유럽, 경기 약세로 금리 인하 가능성 살아있어
- 경제 뉴스가 호재면 자산 가격에 악재로 미치는 상황

◇ 올초부터 시장을 이끌어온 대부분의 성장주 종목들이 약세로 돌아선 상황입니다. 최근 업종별 성적표도 많이 달라졌다고요?

- 성장주 투심 악화…강세 보인 업종은?
- 성장주 ‘주춤’…전통 가치주 ‘에너지’ 섹터 강세
- 미국 업종별 성적표 지형 변화…에너지 수익률 1위 
- 금융·필수소비재·유틸리티 업종 방어주로 급부상
-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원유가격 4달째 상승세
- 에너지·통신서비스·금융·산업재순 상승
- S&P500 에너지 섹터는 올해 약 17% 상승
- '이스라엘 보복'에 세계 금융시장 출렁…국제유가 급등세
- 올해 들어 유가 16%↑…에너지 섹터 상승 요인 

◇ 성장주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성장주로 포트폴리오를 꽉 채워높은 투자자들은 고민이 많이 되실것 같거든요. 포트폴리오 재정비가 필요한 시점인데, 조언을 주신다면요?

- 성장주 동반 약세…지금 필요한 시장 전략은?
- ”인플레 헤지·금리 상승 피해 줄이는 전략 필요“ 
- ”소재·에너지업종·원자재 비중 늘이고 채권 줄여야“ 

◇ 글로벌 시장에선 원자재만 오르는 모습입니다. 원유를 비롯한 리튬, 구리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일제히 오르면서 여전히 랠리가 지속중인데요. 지금의 상승세 언제까지 이어질지, 또 지금이라도 랠리에 합류해도 좋을지 궁금하거든요?

- 리튬·유가·구리… ‘원자재 랠리’ 어디까지 갈까
- 글로벌 제조업 PMI, 2년 만의 최고치
- 글로벌 제조업 PMI 확장세…에너지·소재 업종 강세
- 글로벌 제조업, 침체기서 수년 만에 탈출 기대감 
- G2 초기 회복세 주도…독일·아시아도 개선
- 제조업 경기 활기…알루미늄·구리·아연 가격 상승
- 경기확장과 위축을 가르는 기준선 50…5개월째 넘어서
- 중국, 3월 공식 제조업 PMI 50.8
- 미국, 3월 제조업 PMI 50.3… 17개월 만에 확장세

◇ 금 가격도 무섭게 치솟고 있습니다. '너무 올랐다'는 일각의 우려와 달리 금값 상승 전망과 함께 거래대금도 최고치를 찍고있는데요. 많이 오르긴 했지만 지금이라도 투자하는 게 좋을까요?

- 금 가격 고공행진…불안할 땐 역시 금이 최고?
- 금 가격 2400달러 도달…미 공공부채 급증에 대한 경고
- 금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
- 미국의 달러 무기화…미국채보다 금보유 선호도 상승
- 미국, 공공부채/GDP 작년말 131%에서 2053년 192% 예측
- ”금 가격 조정시 포트폴리오 내 일정 비중을 가져가야“
- 경제 불안 탓에…국내 금 거래 '역대 최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당신의 제보가 뉴스로 만들어집니다.SBS Biz는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홈페이지 = https://url.kr/9pghjn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SBS Biz에 제보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