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학 학습량 짓눌려 고3 이과생 비율 첫 감소

성채윤 기자 2024. 4. 21. 10: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전국연합 학력평가를 응시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가운데 이과생 비율이 작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이과생 비율이 계속해서 확대된 상황이어서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과생 비율이 축소된 것은 통합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이후 처음이다.

3월 학력평가 기준 이과생 비율이 2022학년도 43.8%→2023학년도 45.3%→2024학년도 47.2%로 늘어온 것은 이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종로학원 3월 학력평가 분석]
2.3%P↓ ···통합수능 도입 후 처음
의대 기대감에 이과 N수생은 늘듯
2024년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열린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구 개포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답안지를 받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지난달 전국연합 학력평가를 응시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가운데 이과생 비율이 작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 이과생 비율이 계속해서 확대된 상황이어서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1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3월 학력평가 기준 2025학년도 고3 인문·자연 구성비’를 분석한 결과 탐구 영역에서 과학탐구를 선택한 이과 학생은 44.9%로 집계됐다. 지난해 3월에는 47.2%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3%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사회 탐구를 응시해 문과로 분류된 학생은 55.1%로 작년(52.8%)보다 늘어났다.

이과생 비율이 축소된 것은 통합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이후 처음이다. 국어와 수학에서 문·이과 구분 없이 시험을 치르게 되면서 표준점수를 더 높게 얻을 수 있다는 이유로 이과생 비율이 증가해왔다. 의대 열풍도 이 같은 흐름에 동참해왔다.

3월 학력평가 기준 이과생 비율이 2022학년도 43.8%→2023학년도 45.3%→2024학년도 47.2%로 늘어온 것은 이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3월 학력평가부터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국어 영역에서도 이과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언어와 매체’ 선택 비율이 지난해 37.6%에서 올해 37.4%로 소폭 줄었다. 수학 영역에서는 ‘미적분’을 선택한 학생 비중이 같은 기간 43.4%에서 43.8%로 늘었다. 종로학원측은 “최근 문과생들도 표준점수가 높게 나오는 점을 인식해 미적분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미적분 비중이 늘었다고 이과생이 늘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과 학생 위주로 응시하는 ‘기하’ 과목의 선택 비중은 2.7%에서 2.3%로 하락했다.

종로학원측은 “고3 이과 비율이 줄어든 것은 수학, 과학에 대한 학습 부담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N수생들의 이과 비율은 지난해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측하면서 “3월 학력평가와 본 수능의 격차가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확대된 의대 정원이 확정된다면 이과 반수생의 합류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설명이다.

성채윤 기자 chae@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