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체험학습서 안전사고 발생… 책임은 교사만?

전승표 기자 2024. 4. 19. 14: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지역 교사들이 현장체험학습 시행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원인은 현장체험학습과 관련한 모든 안전메뉴얼을 철저히 지켰더라도 학생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이 교사에게 지워지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지역 교사들 "안전매뉴얼에 따라 의무 다한 교사 보호 위한 제도적 장치 필요" 한목소리

경기지역 교사들이 현장체험학습 시행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원인은 현장체험학습과 관련한 모든 안전메뉴얼을 철저히 지켰더라도 학생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모든 책임이 교사에게 지워지고 있는 현실 때문이다.

▲경기교사노조 사무실. ⓒ프레시안(전승표)

19일 경기교사노동조합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경기도내 교사 6130명을 대상으로 ‘현장체험학습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육과정상 현장체험학습은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이 76%(4693명·전혀 필요하지 않다 44%, 필요하지 않다 3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장체험학습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사고 시 법적 분쟁 우려’가 35%(4400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학생들의 안전 우려(33%·4117명) △교내 체험학습으로 대체 가능(17%·2138명) △교육과정 운영상 불필요(14%·1780명) 등이 꼽혔다.

‘현장체험학습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시 교육청이나 학교에서 교사를 보호해 줄 것이라는 믿음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82%(5025명)이 ‘믿음이 가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또 ‘현장체험학습 실시 여부에서 교사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응답은 53%(3281명)로 과반을 넘은 반면, ‘주요하게 반영되었다’는 응답은 9%(549명)에 불과했다.

ⓒ경기교사노조

경기교사노조는 "현장체험학습은 단순히 노는 날이 아닌, 명백한 교육과정의 일환"이라며 "따라서 학교 구성원들의 자율적인 협의 과정을 거쳐 시행돼야 하지만, 정작 현장체험학습의 처음과 끝을 책임지는 교사의 의견은 철저히 묵살한 채 학생과 보호자의 요구라는 이유로 강행하는 학교가 과반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체험학습은 교육 전문가인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견학이나 체험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진행돼야 진정한 배움과 성장이 동반될 것"이라며 "교사를 교육활동 전문가로 인정하고 자율성을 보장해 주는 제도와 문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장체험학습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학생들을 지도하다 생긴 사고의 책임을 오로지 교사 개인이 지는 현실은 매우 부당하다"며 "교사가 안전매뉴얼에 따라 의무를 다했다면 교사를 보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교사노조는 "학생들을 지도하는 일은 교사 개인 뿐만 아니라 가정과 학교, 교육청, 교육부, 국가가 모두 함께 나서서 책임져야 마땅하다"며 "교육당국은 학생의 안전을 위한 책임을 다한 교사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책임지고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승표 기자(sp4356@hanmail.net)]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