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배재현 파워’는 살아있다... 1심 판결 나오면 모빌리티·다음 매각 추진說

노자운 기자 2024. 4. 19. 06: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가 지난해 10월 18일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남부지방법원에 출석하고 있다. /뉴스1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가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의혹으로 기소돼 1심 재판을 받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가 그의 결심공판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 전 대표는 현재 보석 상태로 재판을 받고 있다. 회사 일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는데, 1심 판결이 나오면 그런 제약에서 벗어나 계열사 매각을 재추진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물론 1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법정구속될 수도 있으나 배 전 대표 측은 그럴 가능성이 낮다고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 전 대표가 ‘자유의 몸’이 되면 가장 먼저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에 착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2대주주인 재무적 투자자(FI)의 매각 의지가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카카오의 ‘애물단지’인 포털 사이트 다음이 매각 후보로 거론된다.

◇ 석방됐지만 여전히 구속 강해… 김범수와도 교류 없어

19일 투자은행(IB) 및 법조계에 따르면, 배 전 대표는 지난달 6일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5부(양환승 부장판사)의 보석 허가를 받아 석방된 상태로 1심 재판을 받고 있다. 배 전 대표 등이 작년 2월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할 목적으로 사모펀드 운용사 원아시아파트너스와 공모해 SM 주가를 띄웠다는 게 검찰 시각이다.

배 전 대표는 작년 말까지도 카카오 이사회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는 재판 등의 사정으로 투자총괄대표라는 직책은 잠시 내려놨지만, 영향력은 여전하다고 한다. 일례로 배 전 대표가 보석으로 풀려난 지 약 열흘 만에 김정호 전 카카오 CA협의체 경영지원총괄이 해고됐다. 김 전 총괄은 작년 말부터 욕설 및 명예훼손 등의 논란을 일으켜 사내 윤리위원회의 내부 감사 끝에 징계를 받은 것이지만, 결국 배 전 대표 세력과의 ‘힘겨루기’에서 패한 셈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다만 배 전 대표는 자신의 본업인 투자 및 M&A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고 있다. 카카오의 계열사 매각 작업은 지난해 10월 배 전 대표의 구속과 함께 ‘올 스톱’됐는데, 그가 보석으로 풀려난 지금까지도 시계제로다. 배 전 대표는 김범수 창업자 겸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과도 만나지 않는 건 물론이고 통화조차 삼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주요 공범과 참고인을 만나선 안 된다는 보석 조건 때문이다.

법조계의 한 관계자는 “배 전 대표가 이 같은 제약에서 벗어나 계열사 정리를 진두지휘하려면 적어도 1심 판결은 나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심 판결 이후엔 보석 요건의 효력 자체가 사라진다.

카카오는 여러 차례 크고 작은 M&A를 통해 몸집을 불려온 만큼, 봉건제 같은 조직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의장의 복심과도 같은 배 전 대표가 M&A를 다시 총괄하게 된다면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범수 창업자의 ‘운명’이 배 전 대표의 입에 달렸다는 점도 배 전 대표의 영향력을 더 키울 수 있는 요인이다.

◇ 배재현 다시 칼 잡으면 모빌리티부터 팔 듯

배 전 대표가 다시 M&A를 총괄한다면, 카카오는 우선 카카오모빌리티 매각에 재시동을 걸 가능성이 크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매각이 시급한 이유는 2대주주인 사모펀드 텍사스퍼시픽그룹(TPG)의 엑시트(투자금 회수) 의지가 강하기 때문이다. TPG는 2017년 한국투자증권·오릭스와 컨소시엄을 이뤄 카카오모빌리티에 5000억원을 투자했으며, 2021년 1307억원을 추가로 투입했다. 누적 투자금이 6307억원이며 지분율은 29.6%에 달한다.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업가치는 2022년 8조5000억원까지 올랐으나, 골목상권 침해 및 분식회계 논란 등에 휩싸이며 기업공개(IPO)와 경영권 매각이 줄줄이 무산됐다. 2022년에는 MBK파트너스에 매각하려 했으나 노조의 강한 반발을 샀고, 결국 홍은택 당시 대표가 철회를 결정했다.

인터넷 포털 ‘다음’ 역시 카카오가 오래전부터 매각하고 싶어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다음이 진보 성향 플랫폼이라는 이미지가 강해, 카카오에서는 이 때문에 이번 정권에 밉보이게 됐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며 “카카오는 (다음의) 기업가치에는 큰 욕심이 없으며 헐값에라도 털어버리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이미 지난해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다만 다음을 사갈 만한 기업이 없고 매각 시 노조의 반발이 극심할 것으로 예상돼 현실적으로 손절이 쉽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