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바오 신랑감 위안멍 거론되는데…짝짓기 성공하려면 ‘이것’에 달렸다

곽선미 기자 2024. 4. 18. 05: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푸바오의 유력한 짝짓기 상대로 '위안멍'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자이언트 판다의 번식에는 수컷 판다의 장내 미생물이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학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사범대 연구진은 지난 1일 국제 학술지 '생태와 진화(Ecology and Evolution)'에 '수컷 자이언트 판다의 자연 생식능력과 장내 미생물 배합 및 기능 사이 상관관계(Natural mating ability is associated with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function in captive male giant pandas)'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바오의 유력 신랑감으로 거론되는 ‘위안멍’.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푸바오의 유력한 짝짓기 상대로 ‘위안멍’이 거론되고 있는 가운데 자이언트 판다의 번식에는 수컷 판다의 장내 미생물이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학계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사범대 연구진은 지난 1일 국제 학술지 ‘생태와 진화(Ecology and Evolution)’에 ‘수컷 자이언트 판다의 자연 생식능력과 장내 미생물 배합 및 기능 사이 상관관계(Natural mating ability is associated with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function in captive male giant pandas)’라는 제목의 논문을 게재했다.

논문을 집필한 연구진은 자이언트 판다의 번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수컷 판다 20마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고 한다. 판다는 암컷의 가임기가 연 40시간에 불과할 정도로 번식이 어려운 동물이다. 수컷 판다의 성관계에 대한 욕구도 크지 않다.

이에 따라, 해당 논문에서 연구진은 장내 미생물이 성기능과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에 착수했다. 성기능이 왕성한 판다 장내에서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이라는 세균이 많이 발견됐다는 사실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중국 산시성 자이언트 판다 연구센터에 있는 20마리의 수컷 판다로부터 대변 표본 72개를 확보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후 성기능이 활발한 수컷과 그렇지 않은 수컷으로 그룹을 나눈 뒤 각 그룹에 속한 판다들의 장내 미생물 구성을 살펴봤다.

푸바오. 삼성물산 제공

연구 결과 성기능이 활발한 판다의 장에서도 가설과 마찬가지로 클로스트리듐이 많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의 경우는 그렇지 않았다.

연구진은 판다의 번식 가능성을 높이려면 클로스트리듐이 많은 죽순을 자이언트 판다에게 더 많이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또 번식기를 전후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식단에 추가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 화합물은 식물성 화합물로, 블루베리나 딸기 등에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샌디에이고동물원 야생동물연합의 메건 오웬 박사는 “(이 연구는) 멸종위기 동물의 보존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결과”라고 지적했다.

곽선미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