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 인천형 RE100 산단 ‘쏠린눈’ [제22대 국회에 바란다 ④환경]

김지혜 기자 2024. 4. 17. 18:29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주 ‘RE100’ 첨단산업 구축 약속
국힘 ‘그린수소’ 확대 기후공약 발표
지역 화력발전 의존도 높아 현실성↓
전문가 “해상풍력 특별법 제정 필요”
인천 서구 복합화력발전소 전경. 경기일보DB

 

인천의 제22대 총선 당선인들이 공약으로 내놓은 ‘RE100’ 추진을 비롯한 재생에너지 확대가 이뤄질지 관심이 쏠린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서는 21대 국회에서 계류한 해상풍력특별법 제정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17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RE100 대한민국’을 위한 기후 공약을 전면에 내세웠다. RE100이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태양광, 바이오, 풍력, 수력 등으로 얻는 재생에너지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당선인들도 인천지역 산업단지가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하는 내용의 ‘RE100’ 추진을 공약으로 내놨다.

민주당 이재명 의원(계양구을)은 계양테크노밸리(TV)에 조성하는 도시첨단산업단지를 RE100 인증 산단으로 추진하고, 이에 필요한 첨단기업을 유치하겠다고 약속했다. 같은 당 박선원 당선인(부평구을) 역시 제3보급단~부평국가산업단지~삼산4지구 등을 ‘RE100 벨트‘로 보고 첨단산업을 구축하겠다고 공약했다. 모경종 당선인(서구병)은 유휴 매립지에 RE100 첨단산업단지를 조성해 검단산업단지와 계양TV등에 전력 공급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구상을 내놓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재생에너지인 ‘그린수소’ 확대를 기후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배준영 의원(중·강화·옹진군)도 옹진군 일대의 해상풍력 재생에너지 단지를 공약하고, 이를 통한 재생에너지 확대를 공약했다.

하지만 석탄·가스를 태우는 화력 연료 발전 비율이 높은 인천의 특성상 이 같은 공약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 현재 인천은 1일 전력 생산량 1만3천633㎿ 중 신재생에너지 전력은 471㎿(0.3%)에 불과하다. 인천 앞바다에 풍력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추진 중이지만, 아직 첫걸음 단계일 뿐이다.

특히 현재 인천에서 생산한 전력의 53%가 서울·경기지역으로 공급이 이뤄지는 만큼, 이 같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자칫 수도권 전력 수급 등에 큰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다. 현재 기술로는 재생에너지 생산 비용이 많이 들고, 이를 설치할 유휴부지도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당선인들이 그린수소·해상풍력 등 인천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재생에너지 사업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이 수도권 전력 공급 기지인 만큼 정부가 많은 재정적 지원을 하고, 이를 재생에너지 사업에 재투자하는 형태의 특별법 제정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과 교수는 “현재 법 테두리에서 RE100은 단순한 선언적 공약일 뿐”이라며 “당선인들이 인천의 RE100을 위해 먼저 해상풍력 관련 특별법 제정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21대 국회에 발의 했지만, 결국 통과 못한 해상풍력 관련 특별법을 제정해 국가가 나서서 주민수용성도 높이고 관련 시설도 확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지혜 기자 kj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