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공대 장의순 교수팀, 나노 기반 다제내성 세균감염 치료 기술 개발

정우용 기자 2024. 4. 17. 11: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오공과대는 17일 화학생명과학과 장의순 교수 연구팀이 다중약물에 내성이 있는 다제내성 세균감염과 관련한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다중약물의 내성을 나타내는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세균 감염은 결핵, 폐렴, 콜레라, 패혈증, 뇌수막염, 피부궤양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지만, 기존의 항생제로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노물질 기반 다제내성 세균감염 치료 메커니즘/뉴스1

(구미=뉴스1) 정우용 기자 = 금오공과대는 17일 화학생명과학과 장의순 교수 연구팀이 다중약물에 내성이 있는 다제내성 세균감염과 관련한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다중약물의 내성을 나타내는 다제내성(Multidrug-Resistant, MDR) 세균 감염은 결핵, 폐렴, 콜레라, 패혈증, 뇌수막염, 피부궤양 등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지만, 기존의 항생제로는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특히 2차 MDR 세균 감염은 당뇨병, 암, 코로나19 등의 감염자에게 가장 빈번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금속 나노물질의 광열효과가 MDR 세균을 직접 사멸시킬 뿐 아니라 펜톤(Fenton)과 펜톤-유사 화학 반응을 통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촉진시켜 화학동역학적 치료 효과를 높이기 때문에 다제내성 박테리아의 감염 치료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장 교수는 "다제내성 박테리아 감염을 극복하기 위한 미래 연구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newso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