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TSMC에 역전당한 결과…대만 100대 기업, 시총·영업이익 모두 한국 추월

이진주 기자 2024. 4. 17. 09: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10년 새 한국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시총과 영업이익이 대만 100대 기업에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한국과 대만의 시총 100대 기업(금융업·지주사·특수목적회사 제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 100대 기업 영업이익은 2013년 말 88조1953억원에서 2023년 말 71조6491억원으로 18.8%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대만 1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은 36조3947억원에서 86조960억원으로 136.6% 늘며 한국을 제쳤다.

시총에서도 한국 100대 기업이 2013년 말 828조6898억원에서 2023년 말 1565조4222억원으로 88.9% 늘었지만, 같은 기간 대만 100대 기업 시총은 540조9574억원에서 1694조8700억원으로 205% 급증해 한국을 추월했다.

CEO스코어는 이 같은 역전 현상에 양국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의 시총과 영업이익 추이의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와 TSMC의 지난해 말 시총은 각각 468조6279억원, 645조5566억원으로 TSMC가 삼성전자를 177조원가량 앞섰다.

CEO스코어 제공

10년 전인 2013년과 비교하면 삼성전자 시총은 202조947억원에서 266조5332억원(131.9%) 늘고, TSMC는 96조1509억원에서 549조457억원(571.4%) 늘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삼성전자가 36조7850억원에서 6조5670억원으로 줄었는데, TSMC는 7조7238억원에서 38조6278억원으로 늘며 5배 증가했다.

2021년 영업이익은 삼성전자가 51조6339억원, TSMC가 26조6492억원이었지만, 2022년 TSMC 영업이익이 48조5960억원으로 늘고 삼성전자 영업이익은 43조3770억원으로 줄면서 TSMC의 역전이 시작됐다.

작년 두 나라 100대 기업 중 시총 비중이 가장 큰 업종은 삼성전자와 TSMC가 속한 정보기술(IT) ·전기전자 산업이었다. 한국 IT·전기전자 기업 15곳의 시총은 766조1971억원으로 100대 기업 중 48.9%를 차지했다. 대만은 IT·전기전자 기업 61곳이 시총 1276조6667억원을 기록해 100대 기업 내 비중이 77.4%에 달했다.

CEO스코어 제공

이진주 기자 jinju@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