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석촌호수 홀딱 뒤집은 이 남자…이번엔 용산서 일냈다는데

박창영 기자(hanyeahwest@mk.co.kr), 김호영 기자(pressphoto@mk.co.kr) 2024. 4. 15. 15: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대수 HDC아이파크몰 대표
인기 맛집·빠델구장 등 한곳에
닌텐도 게임 등 팝업 행사 성황
2030 고객 60%…매출 20%↑
김대수 HDC아이파크몰 대표. [김호영기자]
김대수 HDC아이파크몰 대표(57)는 2022년 롯데백화점 퇴직 후 휴식기를 갖던 도중 정몽규 HDC 회장의 미팅 요청을 받았다. 20분을 예상했던 만남은 1시간을 넘어갔다. 정 회장이 아이파크몰 용산점을 보고 느낀 점을 묻자, 김 대표는 “아파트 관리소장이 용산역사를 지키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이라며 “출입구는 너무 무겁고, 벽으로 곳곳이 막혀 있고, 매장 직원들은 잘 보이지 않는다”고 솔직히 답했다. 누구든 편하게 올 수 있는 쇼핑몰의 이미지가 아니라는 의견이었다. 그날 헤어지면서 대표직 제안을 받은 그는 불과 한 달 뒤인 7월 1일부로 HDC아이파크몰 대표에 부임했다.
지난해 아이파크몰 용산점 매출(거래액)은 사상 최대인 5000억원을 찍으며 전년 대비 약 20% 신장했다. 단순 거래 규모만 커진 것이 아니다. 영업이익도 20% 가까이 늘었다. 최근 서울 용산 HDC아이파크몰 본사에서 만난 김 대표는 “단순히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을 넘어 고객이 방문해 즐겁게 놀고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놀이공간을 지향한다”고 밝혔다.

고객에게 ‘재미’를 주는 게 중요하다는 철학은 전 직장인 롯데백화점에서 30년 넘게 근무하는 동안 갖게 됐다. 롯데그룹 유통사를 종합적으로 담당하는 유통 BU의 마케팅 총괄을 맡던 당시, 그는 대형 이슈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패션을 테마로 한 마라톤 ‘롯데 스타일런’과 석촌호수에 인기 캐릭터 카우스를 띄우는 ‘카우스:홀리데이 코리아’가 그의 주도하에 나왔다.

지난해 10월 용산 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된 닌텐도 공식 팝업스토어에 고객들이 입장을 위해 긴 줄을 드리우고 있다. [사진 제공=HDC아이파크몰]
지난해 아이파크몰이 사상 최대 실적을 내는 데도 ‘펀슈머’(재미를 위해 소비하는 이들) 공략이 큰 역할을 했다. 그해 10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된 일본 닌텐도 직영 공식 팝업스토어는 매일 오픈 전부터 긴 입장 대기 줄을 형성했다. 기본 대기 시간만 3시간에 달했으며, 오후 4시 전에 입장이 마감됐다. 매출은 한 달만에 40억원이 넘게 나왔다. 이밖에 국내 유일 건담 페스티벌과 아이돌 엔믹스 팝업 스토어 등이 고객 발길을 끌었다.
용산 아이파크몰에 설치된 스페인 정통 츄러스 맛집 츄레리아 팝업 스토어 앞에 고객들이 대기하고 있다. [사진 제공=HDC아이파크몰]
오는 27일에는 국내 유통업체 최초로 빠델구장을 오픈한다. 빠델은 작은 밀폐형 코트에서 복식 경기를 하는 라켓 스포츠로 유럽에서 각광받는다.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 스포츠 구장을 개장하는 게 부담스럽지 않느냐는 물음에 김 대표는 “이미 인기 있는 시설을 들이면 물이 빠지는 속도도 더 빠르다”고 답했다. 이어 “극장 산업이 위축된 와중에도 아이파크몰의 용아맥(용산 아이맥스의 줄임말)은 늘 붐비는 것도 선점 효과 덕분”이라며 “선점 업체는 늘 상징성을 갖는다”고 덧붙였다. 앞서 오픈해 운영 중인 풋살장 또한 연 방문객이 30만명을 넘는다.
용산 아이파크몰에 오는 27일 오픈할 빠델구장 가상 이미지. [사진 제공=HDC아이파크몰]
그는 쇼핑몰이 임대관리인으로 남아서는 안 된다고 본다. 테넌트(입점 업체)는 단순히 수수료 수취의 대상이 아닌 협업 관계에 있는 파트너란 것이다. 김 대표는 “우리에게 큰 테넌트로는 이마트, CJ CGV, 대원미디어 등이 있다”며 “과거엔 이들과의 관계에 수동적으로 접근했기 때문에 기회를 적극적으로 창출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닌텐도 팝업이 히트 치는 데는 닌텐도 유통사인 대원미디어 역할이 컸다”며 “앞으로도 입점 업체와 협업을 끌어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김 대표는 아이파크몰이 ‘어반 플레이그라운드’(도시의 놀이터)로 기억되길 원한다. 팀호완, 호우섬, 올드페리도넛 등 젊은 층에 인기 많은 F&B(식음료) 매장을 대거 유치했고, 패션 코너에도 스트리트 브랜드와 스포츠 브랜드를 상당수 들였다. 아이파크몰 멤버십 고객 중 20·30대의 가입 규모는 2년 새 4배 넘게 증가하며, 전체의 60%를 차지한다. 그는 “기존 유통 대기업은 덩치가 크기 때문에 새로운 도전을 할 때 제약이 많다”며 “우리는 보다 민첩하게 움직일 수 있는 만큼 새로운 영역에 더 많이 도전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