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으로 쪼그라드는 우유...‘속편한’ A2 제품 경쟁 본격화

안병준 기자(anbuju@mk.co.kr) 2024. 4. 15. 15: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우유시장이 저출생 등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우유업계 1위 서울우유가 오는 2030년까지 A2원유 비율을 100%로 높이기로 했다.

서울우유는 'A2+ 우유'의 패키지에 A2우유를 형상화한 디자인과 제품 캡 상단 점자표기, 제품 설명을 위한 QR코드 등 고객 편의성도 높였다.

한편, 국내 우유 시장이 감소 추세인 가운데 서울우유가 A2우유 시장 진출을 공식화함에 따라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우유, ‘A2+ 우유’ 출시
배앓이 유발하는 단백질 없어
2030년까지 100% 전환 목표
1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A2+(플러스) 우유 출시회’에서 문진섭 서울우유협동조합장(왼쪽)과 ‘A2+ 우유’ 광고모델 배우 박은빈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국내 우유시장이 저출생 등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우유업계 1위 서울우유가 오는 2030년까지 A2원유 비율을 100%로 높이기로 했다. 한국인 10명 중 6명이 복부팽만·설사 등으로 우유 소화에 불편함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우유의 부작용을 줄여주는 A2우유가 국내 우유업계의 새 돌파구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A2+(플러스) 우유 출시회’에서 최경천 서울우유 상임이사는 “저출산 및 고령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수입산 멸균우유에 대비해 A2 우유가 좋은 해답이 될 것”이라며 “서울우유는 ‘A2+ 우유’로의 전면 전환을 통해 프리미엄 우유를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올해 말까지 하루평균 약 1900t의 원유 중 3%인 50t을 A2 우유로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서울우유 조합원의 모든 목장에서 A2 원유가 생산될 수 있도록 전환할 방침이다. 앞서 서울우유는 지난 2020년부터 약 80억원을 투자해 A2 유전자를 공급하고 전용목장을 만들었다.

최 상임이사는 “한국인 중 유당불내증 등으로 우유 소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비율이 62%에 달한다”면서 “우유업계는 A2우유 생산 여부에 따라 운명이 갈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A2우유는 기존 우유가 복부팽만·복통·설사 등 장내 배앓이 유발 물질이 포함된 A1 단백질과 A2 단백질을 보유한 것과 달리 A2 단백질만 갖고 있다. 이를 위해 A2우유는 A2 단백질만 보유한 젖소의 원유만을 사용한다. 또한 A2우유는 모유 단백질 구조와 유사해 흡수도 잘 된다. 다만 A2우유에도 유당이 포함되어 있어 유당불내증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한다.

서울우유가 새로 선보인 신제품 ‘A2+ 우유’는 A2 전용목장에서 집유한 100% 국산 A2 우유로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서울우유의 차별화된 핵심 가치였던 체세포수 1등급과 세균수 1A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EFL(Extended Fresh Life) 공법을 추가했다. EFL공법은 불순물 등을 제거하는 원심분리기를 추가로 한번 더 거치는 것을 말한다.

서울우유는 ‘A2+ 우유’의 패키지에 A2우유를 형상화한 디자인과 제품 캡 상단 점자표기, 제품 설명을 위한 QR코드 등 고객 편의성도 높였다. 소용량 제품에는 빨대를 꽂고 마실 수 있게 스트로우홀도 적용했다.

한편, 국내 우유 시장이 감소 추세인 가운데 서울우유가 A2우유 시장 진출을 공식화함에 따라 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FIS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국내 우유 시장은 지속해서 우하향하는 추세이다. 2020년 2조4652억원이었던 국내 시장 규모는 2021년 2조1841억원, 2022년 2조1766억원, 2023년 2조1532억원으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국내에서는 유한건강생활의 ‘뉴오리진’이 지난 2019년 최초로 A2우유를 선보였다. 호주 전용 목장에서 방목한 젖소의 원유로 만든다. A2우유 누적 판매량도 업계 최초로 약 300만개(200ml 기준)를 돌파했다.

연세유업은 직접 관리하는 전용 목장에서 수급한 원유로 ‘A2단백우유’를 생산중이며 최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2024 국제식음료품평회’에서 ‘국제 우수 미각상’ 최고등급인 ‘3스타’를 수상하기도 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