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년 신촌블루스 엄인호 “후배들에게 뭔가 보여주고 싶어”[인터뷰]

정주원 기자(jnwn@mk.co.kr) 2024. 4. 15. 14: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블루스의 전설 엄인호 인터뷰
1986년 신촌블루스 결성 이후
38년째 팀 명맥 지켜온 뮤지션
한영애 김현식 이어 강성희 등
개성 강한 보컬로 곡 생명력 유지
28일 관악아트홀서 단독콘서트
후배들과 베스트앨범 녹음 중
신중현 등 한국명곡 블루스로
12일 서울 마포구의 합주 연습실에서 만난 신촌블루스의 엄인호. 트레이드 마크인 장발에 청바지 차림으로 연습실 한쪽에 놓여있던 기타를 연주하고 있다. 이승환 기자
블루스. 느릿한 리듬 위에 19세기 미국 남부 흑인들이 삶의 애환과 고뇌를 노래하던 장르로, 거리나 술집을 떠돌던 ‘블루스맨’을 통해 널리 퍼졌다. 한국의 토종 블루스맨이라면 단연 엄인호(72)가 떠오른다. 그는 당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고뇌, 삶과 사랑에 서린 애환을 담아 ‘한국형 블루스’를 고집해왔다. 1986년 서울 신촌의 한 라이브 카페에서 결성한 밴드 ‘신촌블루스’가 그 시작. 기타리스트 엄인호와 이정선을 주축으로 한영애, 정서용, 고(故) 김현식 등 개성 강한 뮤지션이 뭉쳐 그 시절 청춘의 우울을 노래했다. 외국곡을 따라만 부르지 않고 우리말로 직접 지은 명곡도 쏟아냈다. 엄인호의 ‘골목길’, 이정선의 ‘빗속에 서있는 여자’ 등이 담긴 신촌블루스 1·2집은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올라 있다.

곡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목소리로 재해석되며 살아있는 전설이 됐다. 이은미, 정경화, 강허달림 같은 내로라하는 가수들이 이 밴드의 보컬을 거쳐 갔다. 38년째 남아있는 원년 멤버는 엄인호가 유일하지만, 지금도 세 명의 보컬 제니스, 김상우, 강성희가 추억의 노래를 함께 부른다. 이달 28일 서울 관악아트홀에서 콘서트를 앞두고 마포구 지하 연습실에서 만난 엄인호는 “멤버가 빠지면 해산하는 밴드도 있지만 내 욕심인지 신촌블루스는 항상 흘러왔다”고 돌아봤다. 이번 공연엔 그를 주인공으로 한 한국 대중음악사 다큐멘터리 촬영도 진행돼, 대표곡 위주로 2시간을 채울 예정이다.

부드러운 고음을 내는 제니스, 한이 서린 듯 카리스마 있는 강성희 등 보컬 멤버들 모두 10년 넘게 신촌블루스를 지키고 있다. 특히 최근엔 강성희가 무명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의 톱7에 올라 이름을 알렸다. 1980년대부터 손수 멤버를 끌어모았던 엄인호의 안목이 또 한 번 증명된 셈이다. 엄인호는 “돈 좀 벌었어야 했는데 남들이 다 가져갔다”고 농을 섞으면서도 “내가 운이 좋은 건지 그 친구들이 운이 좋은 건지, 대체로 우연이었다”고 했다. “소개를 받아 찾아가기도 했고 우연히 노래를 듣기도 했죠. 음색을 들으면 그 사람만의 특색은 빨리 찾아내는 편이에요. 그 개성이 내가 만든 곡에 어울리는지를 찾아내고 들이댔죠. 덕분에 좋은 가수를 많이 만났어요.”

1986년 결성된 신촌블루스의 명맥을 38년째 이어온 기타리스트 엄인호. 최근엔 체력 탓에 무대에서 노래 부르고 기타 치기가 버겁다면서도 ‘악으로 버틴다’고 웃어 보였다. 이승환 기자
이런 방식으로 그의 곡은 시절마다 어울리는 옷을 새로 입었다. 여전히 김현식의 ‘골목길’, 한영애의 ‘그대 없는 거리’가 회자하지만, 지금의 보컬들도 각자의 해석으로 맛깔나게 곡을 소화한다. 엄인호는 “내가 개입하지 않아도 곡에서 매력적인 부분은 가수들이 알아서 찾아내고 자기 감성을 집어넣는다”며 “여러 방식으로 리메이크되는 곡에 대해 좋은 감정으로 평가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엄인호의 곡은 대부분 요동치던 감정의 산물이다. 제대로 음악을 배운 적도 없다. 곡 ‘아쉬움’은 여자친구와의 말다툼 이후에, ‘그대 없는 거리’는 늦은 밤 잠든 갓난쟁이 아들의 발을 보고 토하듯 뱉어냈다. 많은 사연 중 지금도 남다른 의미가 있는 곡으로는 1991년 발표한 ‘세월이 한참 흐른 뒤에야’를 꼽는다. 미완성으로 품고 있던 곡인데, 음악적 동지였던 ‘가객’ 김현식이 작고한 직후 가사를 써 내려갈 수 있었다. ‘세월이 한참 흐른 뒤에야/ 우린 서로 후회할꺼야’ 같은 대목을 요즘도 곱씹는다고 한다. 비교적 최근 곡인 ‘붉은 노을’은 서울시립승화원 언덕길 너머 노을을 보고 떠오른 세월의 회한을 담았다.

노년의 엄인호는 “이제는 노래 부르기가 힘들다”면서도 쉬지 않고 무대에 올라왔다. 어느덧 새하얗지만, 장발의 머리카락과 청바지 차림은 처음 무대에 섰을 때나 지금이나 그대로다. 요즘은 후배들과 함께 블루스 앨범 작업에 한창이다. LP에 자신의 대표곡을 담는 것으로, 현 보컬 멤버들과 가수 임지수·박완규·박광현 등이 참여한다. “후배들에게 뭔가 보여줘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어차피 도토리 키재기인데 외국곡을 베끼지도 말고, 너무 유치한 가사도 그만 부르자고요. 노래가 노래다워야죠. 이 음반이 잘되면 신중현 선생님 등 내 윗세대의 명곡도 블루스로 리메이크해 들려드릴게요.”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