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춘객 매료시킨 동해항 크랩킹 페스타 ‘대박’

홍춘봉 기자(=동해) 2024. 4. 15. 14:1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활크랩 10t 이상 판매…축제 활성화 견인차 역할

지난 12일부터 러시아대게마을 일원 북평 제2일반산업단지에서 열린 ‘2024 동해항 크랩킹 페스타’가 대성황을 이루며, 동해안의 대표 먹거리축제이자, 환동해권을 대표하는 K-페스티벌로 도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2회째 개최된 동해항 크랩킹 페스타는 20도를 넘는 화창한 날씨 속에 성황리에 진행됐다. 대회 첫날 평일인데도 불구하고 많은 인파가 행사장에 몰렸으며, 개막 행사가 있는 13일에는 인근 북평 5일장과 추암해변을 비롯해 서울과 경기도, 세종 등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상춘객으로 주차장은 만차, 행사장은 북새통을 이뤘다.
▲크랩맨손잡기에 참가한 관광객들이 크랩을 들고 기뻐하고 있다. ⓒ동해시

시는 동해항을 통해 수입되는 러시아산 크랩을 가장 신선하고 시중가에 절반 가격으로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점을 축제를 성공적으로 이끈 가장 중요한 원인이자 매력 포인트로 꼽고 있다.

축제에서는 4인 가족이 대게 4마리를 구입시 12만 원으로 평소보다 훨씬 저렴하게 맛볼 수 있는 셈이다.

올해 동해항 크랩킹 페스타는 지난해보다 한층 다양해진 부스와 업그레이드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었고, 대게 사전예약제, 30분 간격으로 운영되는 셔틀버스, 특히 대형 TFS텐트가 설치되어 시원한 그늘에서 편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점 등은 축제의 만족도를 높이는 장점으로 작용했다.

행사장 내 곳곳에 자원봉사자와 환경미화원, 안전요원과 쓰레기 분리수거함이 배치되었으며, 방문객의 성숙한 공연문화 의식이 더해져 안전하고 쾌적한 가운데 축제를 만끽했다.
▲동해항 크랩킹 페스타 개막공연에 참석한 관광객과 시민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동해시

시는 최근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와 업무협약을 맺고 수도권 관광객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백숙현 동해시 대외협력관의 도움으로 지난 12일 전라도 광주 등에서 KTX(청량리역)와 크랩킹페스타 연계 상품 이용 관광객과 대전 홍익여행사 코레일 임시열차 상품 이용 고객 등 1000여 명이 행사장에 방문, 축제에 동참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을 보탰다.

축제 첫날인 12일에는 ‘2024 크랩킹 페스타 국제포럼’과 지역가수 및 문화예술공연이 진행되어 개막식 전날부터 대회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둘째날인 13일 오후 6시부터 행사장 특설무대에서는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시 사절단, 무역사 초청단과 국내 교류도시, 재경·재안산 동해시민회 등 주요 내빈, 시민, 관광객 등이 참여한 가운데 개막식이 진행됐다.

이어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장민호, 울랄라세션, 박구윤 등 유명 가수들이 출연하는 개막공연이 화려하게 펼쳐져 축제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이날 오전부터 통일된 유니폼을 입은 300여 명의 장민호 팬클럽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들어 방문객의 이목을 끌며, 축제에 활기를 더했다.

축제기간 남녀노소 모든 세대가 크랩뜰채낚시체험, 크랩맨손잡기, 크랩경매 등 행사에 참여해 잊지 못할 추억을 남겼으며, 동해시 최고의 관광캐릭터 뽑기, 동해시 카카오톡 친구 맺기 이벤트, 대게 타투 체험, 크랩쿠키 및 추억의 달고나 만들기 체험부스 등은 쉴새없는 인파로 인기를 실감케 했다.

또한, 크랩이지 라면, 대게버거, 수산물구이장터 등 대게와 수산물을 활용한 먹거리 부스와 막걸리, 라벤더아이스크림, 거북빵 등 지역특산품과 푸드트럭이 배치되는 등 풍성한 먹거리를 저렴한 값에 선보였으며, 활크랩도 10t 이상이 판매되는 등 축제 활성화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
▲수산물구이장터를 찾은 관광객 모습. ⓒ동해시

심규언 시장은 “동해시는 도내 유일의 국제 무역항인 동해항이 있어 러시아산 활크랩의 90% 이상을 수입, 4계절 내내 가장 신선하고 저렴하게 먹을 수 있다”며 “북평산단 일원을 수산물의 저장·가공·유통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하고, 북방교역 확대를 통한 관련산업 유치로 동해항을 활성화하는 한편, ‘대게하면 동해시’,‘동해시하면 대게’를 떠올릴 수 있도록 크랩킹 페스타를 동해다움이 묻어나는 차별화된 지역 대표 먹거리로 발돋움 시키겠다”고 전했다.

[홍춘봉 기자(=동해)(casinohong@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