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새 11% 증가한 탈모환자, 2030 비중 40%…치료제 시장 ↑

강우진 2024. 4. 14. 14: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탈모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30대 젊은 탈모 환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탈모로 진료받은 환자는 지난 2018년 22만5000여명에서 2022년 25만여명으로 4년 새 약 11% 증가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1년 990억원 선이던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은 2022년 1036억원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탈모환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20~30대 젊은 탈모 환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탈모로 진료받은 환자는 지난 2018년 22만5000여명에서 2022년 25만여명으로 4년 새 약 11% 증가했다. 이 가운데 20~30대 젊은 탈모 환자는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해당 통계는 원형탈모증, 흉터탈모증 등 심각한 질환으로 보험 급여를 받은 환자만을 집계한 수치다. 따라서 실제 노화나 유전적 요인으로 발병한 탈모 환자는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한탈모학회는 국내 탈모 인구를 1000만명(전체 인구의 20%) 수준으로 추산하고 있다.

탈모의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유전을 비롯해 스트레스, 두피 불청결, 흡연 및 음주, 화학약품, 잘못된 식습관 등이 꼽힌다.

이처럼 중장년층뿐 아니라 20~30대 젊은 탈모 환자가 늘면서 탈모 제품 시장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1년 990억원 선이던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은 2022년 1036억원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국내 탈모 치료제 시장은 전문의약품 중에선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와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 성분을 중심으로 급성장 중이다. 오리지널 의약품인 GSK의 '아보다트'(성분명 두타스테리드)와 오가논의 '프로페시아'(성분명 피나스테리드) 등이 강세인데, 복제약인 한올바이오파마의 피나스테리드 성분 탈모 치료제 '헤어그로정'이 올해 1월 월 판매량 140만 정을 돌파했다.

일반의약품 매출 1위는 동국제약의 '판시딜'이었다. 모발과 손톱 구성 성분인 케라틴, L-시스틴 등과 모발 영양 성분인 약용효모, 비타민 등을 배합한 판시딜은 모발 필수 영양성분들이 혈액을 통해 모근조직 세포에 직접 공급돼 머리카락을 굵어지고, 덜 빠지게 하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환자들의 정보력이 높아지면서 탈모를 초기에 관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며 "증상이 심해져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시기 이전에 일반의약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일반의약품 시장은 지난해 500억원 규모로 나타났다.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440억원, 460억원 규모로 꾸준히 커지고 있는 추세다.

일반의약품의 인기가 증가하면서 현대약품은 올해 초 탈모증 치료제 '복합마이녹실액' 대용량(240㎖) 제품을 리뉴얼 출시했다. 제일헬스사이언스도 최근 탈모 보조 치료제 '케라티모'를 출시하기도 했다.

탈모 관련 신약 개발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이달 초 탈모치료제 후보물질 'JW0061'에 대한 한국 특허를 등록하며 총 7개국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JW0061은 피부와 모낭 줄기세포에 있는 Wnt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해 모낭 증식과 모발 재생을 촉진시키는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이다. 연내 임상 1상 시험에 착수할 계획이며 현재 임상용 약물을 생산 중이다.

종근당과 대웅제약은 약효 지속 시간을 늘리기 위해 기존 치료제를 주사 제형으로 바꾸는 개량 신약을 연구하고 있다.

일부 제약사는 화장품으로 탈모 관련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JW신약은 프랑스 모발 강화 화장품 '듀크레이 네옵타이드 엑스퍼트'를 국내에 유통하고 있으며, HK이노엔은 손상 모발 관리와 탈모 증상 완화에 도움을 주는 '골드바이옴 리페어' 샴푸, 트리트먼트 제품을 최근 시장에 선보였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