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시간 흘러도, 잊지 않을게”…세월호 10년 기억문화제

윤연정 기자 2024. 4. 13. 2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지역 시민 합창단의 합창이 울려 퍼지는 서울 시청 앞 도로를 '잊지 않은' 시민들이 밝힌 휴대전화 불빛이 메웠다.

한 손에 노란색 바람개비를 들고 아빠 손을 잡은 아이, 노란 나비 모양의 스티커를 가방에 어깨에 붙인 학생들, 지긋하게 그 모습을 바라보는 노부부까지 '나와 세월호의 10년'을 저마다의 방식으로 기억하고 다짐했다.

문화제를 찾은 시민들은 '10년 전 그날의 나'를 떠올리며 세월호를 잊지 않았던 이유를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사흘 앞둔 13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4.16 기억문화제 인(in) 서울’에서 시민 합창단 200여명이 합창을 하는 동안 참석자들이 휴대전화 불빛을 비추며 함께 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일년이 가도 십년이 가도 아니, 더 많은 세월 흘러도 / 보고픈 얼굴들 그리운 이름들 우리 가슴에 새겨 놓을게 /잊지 않을게 잊지 않을게”

서울 지역 시민 합창단의 합창이 울려 퍼지는 서울 시청 앞 도로를 ‘잊지 않은’ 시민들이 밝힌 휴대전화 불빛이 메웠다. 한 손에 노란색 바람개비를 들고 아빠 손을 잡은 아이, 노란 나비 모양의 스티커를 가방에 어깨에 붙인 학생들, 지긋하게 그 모습을 바라보는 노부부까지 ‘나와 세월호의 10년’을 저마다의 방식으로 기억하고 다짐했다.

세월호 참사가 꼭 10년을 맞는 4월16일을 사흘 앞둔 13일, 서울시청 주변에선 ‘4.16 기억문화제 인(in) 서울’이 열렸다. 참사 피해자들, 여성·장애인 단체, 환경 단체, 노동 단체는 세월호의 열쇳말이 된 진실, 책임, 생명, 안전을 주제로 한 부스를 꾸렸고, 한쪽에선 ‘나의 노란 리본’을 주제로 한 ‘오픈 마이크’(자유발언대)가 이어졌다.

문화제를 찾은 시민들은 ‘10년 전 그날의 나’를 떠올리며 세월호를 잊지 않았던 이유를 전했다. 천성희(42)씨는 “세월호참사가 터졌을 시기에 아이를 출산했는데, 이제 벌써 10살이 됐다. 이제는 아이한테 세월호참사가 어떤 사건이었는지 알려줘도 될 것 같아 같이 나왔다”며 “세월호 참사는 10년 전에 일어났던 하나의 사건이 아니라 우리가 계속 기억해야 하는 사건이라는 것을 많은 사람이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이라고 말했다.

동갑내기 친구와 함께 문화제에 온 박소영(29) 씨는 “세월호참사가 발생했을 때 대학 새내기였다. 당시 사회적 참사를 어떻게 대해야 할지도 몰랐다”며 “이태원 참사까지 겪으며 이제는 국가의 책임이 크다는 것을 알게 됐고 시민들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서, 유가족들에게 연대의 힘을 보태고 싶다”고 말했다.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사흘 앞둔 13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4.16 기억문화제 인(in) 서울’이 열렸다. 본행사 시작에 앞서 이곳을 찾은 시민들이 기억과 생명안전을 위한 체험과 나눔에 참여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오후 4시16분, ‘나의 노란 리본’을 주제로 열린 자유발언대에선 이제는 당시 세월호의 언니 오빠들만큼 자란 학생들이 목소리를 보탰다. 고양자유학교 학생 안민서(17)양은 “2014년 8살이었던 저는 지금 18살 단원고 희생자분들과 같은 나이가 됐다. 3일 후면 전 당신들이 살지 못한 삶을 살게 된다”며 “앞으로 어떤 삶을 살게 될지 모르겠지만 한 가지 약속하고 싶다. 당신들의 죽음을, 그날의 바다를, 세월호를 잊지 않겠다. 더 이상 추운 바다가 아니라 따뜻한 봄을 만끽하며 지내고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신민서(18)씨는 “당시 세월호 희생자분들 나이만큼 컸는데, 여전히 나는 하고 싶은 게 너무 많은 나이라서 그분들의 죽음이 너무 슬프다”며 울먹였다.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이 13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문화제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자유발언대를 마치고 본격적으로 시작된 기억문화제에는 3천여명(주최 쪽 추산)의 시민이 “사참위(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 권고 이행 점검하고 추가 조치 보장하라, 생명안전기본법 제정하라”고 구호를 외쳤다. 참사 피해자의 고통과 슬픔을 딛고 ‘모든 시민을 위한 안전한 사회’를 요구하는 목소리였다.

김종기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언제 또다시 여기에 있는 우리 국민이 내일의 희생자가, 유가족이 될지 모르는 그런 불안전한 사회에서 우리 모두 살고 있다”며 “나와 내 가족이 행복하고 소소한 일상을 누리고, 내 아이들이 미래에 자기 책임과 능력을 마음껏 키우는 그런 안전한 사회를 최소한 어른으로서, 부모로서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민 10.29이태원참사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이태원 참사와 오송 참사에는 정부가 없었고, 10년 전 세월호 참사 때도 정부는 없었다”며 “22대 국회는 이태원참사특별법 제정, 생명안전기본법 제정 등을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이행하는 모습으로 이전 국회의 퇴행을 속죄해야 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