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SaaS 기업이 국내 클라우드 꺼리는 이유는

류석 기자 2024. 4. 12. 18: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능 적고 가격경쟁력 낮다고 지적
"상호 협력 통해 경쟁력 높여야"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12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간담회에서 업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 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서울경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적은데, 가격도 아마존웹서비스(AWS)보다 비쌉니다."

12일 서울 광화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인공지능(AI) 시대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간담회에서 강도현 2차관이 "AWS와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를 비교해달라"는 질문에 서형수 알서포트 대표는 이같이 답했다. 이는 서비스 질과 가격만 놓고 보면 국내 서비스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AI 시대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주제로 열린 이날 간담회에는 강 차관과 서형수 대표를 비롯해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 김동환 NHN클라우드 대표,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센터장, 이지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논의된 내용은 과기정통부의 '제4차 클라우드 기본계획' 수립에 반영될 예정이다.

이날 서형수 대표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대표로서 직접 느낀 국내 인터넷데이터센터(IDC)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여러 문제점을 거론했다. 앞서 얘기한 애플리케이션 수와 가격 외에도 서비스 안정성, 해외 확장 등의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 대표는 "몇 년 전 국내 한 대기업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통해 우리 소프트웨어를 서비스한 적이 있는데, 이틀 동안이나 멈췄던 적이 있다"라면서 "알고보니 해당 IDC에 한 번 해외 트래픽이 몰린 적이 있는데, (이를 대응하느라) 우리 같은 서비스 사업자에게 트래픽 할당을 안 해줬던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해외 확장 문제에 대해 그는 "가령 우리가 일본에 서비스를 한다고 하면, 한 곳에 사고가 날 경우를 대비해 최소 두 개 이상의 리전(IDC 권역)이 있어야 한다"면서 "국내 클라우드 기업이 일본 등 해외에 두 개 이상의 리전을 갖추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국내 SaaS 기업과 클라우드 기업이 동반으로 해외에 나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은 몇몇 지적에 대해선 인정하면서도 상호 협력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김동환 대표는 "비용 부분은 우리가 글로벌 대비 절대 비싸지 않고, 최대한 저렴하게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면서 "또 리전은 수요에 따라 만들어지기 때문에 국내 SaaS 기업의 요구가 있으면 해외 리전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AWS는 넷플릭스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새로운 기능으로 구현하면서 더 발전할 수 있었다"면서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도 지금 당장 고객의 기술적 요구를 다 들어줄 순 없겠지만 함께 협력하면서 필요한 기능들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역량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KT클라우드도 SaaS 기업과 클라우드 기업의 동반 성장을 강조했다. 최지웅 대표는 "현재 KT클라우드는 SaaS 기업을 포함해 협력하는 파트너 기업이 130개 정도가 있다"면서 "SaaS 기업이 성장하면 자연스레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도 커지고, 서비스도 고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선 정책적인 지원도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간담회에서는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장 해법 모색과 글로벌 진출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생성형 AI 서비스 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정우 센터장은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애저가 AWS의 점유율을 위협할 수 있었던 것은 2018년부터 투자한 오픈AI 덕분"이라며 "결국 우리나라 클라우드 경쟁력은 얼마나 생성형 AI 서비스를 잘 접목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해외의 메타나 구글, MS 같은 기업들은 AI와 클라우드에 천문학적인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면서 "국내 기업들도 100억 원 혹은 많으면 1000억 원의 투자를 받고 있긴 한데, 이는 GPU 몇천 장 사면 금방 자금이 끝나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가 예산만으로는 산업 육성을 위한 자금 지원이 쉽지 않기 때문에 민간과 정부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자금을 지원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류석 기자 ryupro@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