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 향해 쌓이는 의심, 진짜 스트라이크존은 어디에 있나 [SS포커스]

윤세호 2024. 4. 12. 08:5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 하나로 승리와 패배가 결정된다.

주목할 부분은 이 순간 중계 화면에 찍힌 ABS 스트라이크존이다.

KBO는 ABS 스트라이크존은 홈플레이트 양쪽을 2㎝ 늘려서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ABS 판정에 대한 물음표가 커질 수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9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두산과 한화 경기에서 더그아웃에 자리한 ABS 태블릿 모습. 잠실 | 윤세호기자 bng7@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 잠실=윤세호 기자] 공 하나로 승리와 패배가 결정된다. 당연히 현장은 민감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의심도 쉽게 싹튼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도입한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 얘기다.

아직 낯설다. 이른바 ‘반대 투구’가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다. 타자는 허탈한 한숨을, 공을 받은 포수는 어색한 웃음을 짓는다. 볼카운트 3-0에서 유독 높았던 스트라이크 비율도 줄었다. 볼카운트 0-2에서 높았던 볼 비율 역시 줄었다. 모두가 똑같이 네모난 스트라이크존 안에서 싸운다. 마침내 공정하고 동일한 스트라이크존이 형성됐다.

문제는 일관성이다. 경기 중 일관성은 괜찮다. 다만 구장마다 일관성에 물음표가 붙는다. 현장에서는 “잠실구장 ABS는 다른 구장보다 좌우가 넓다”는 얘기가 돈다. 때문에 잠실 마운드에 오르는 투수는 바깥쪽 비중을 크게 둔다. 타자가 빠졌다고 생각하는 공 한 개가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으면, 경기 흐름은 크게 요동친다.

지난 7일 LG와 KT의 잠실 경기가 그랬다. LG가 득점하면 KT가 추격하는 흐름 속 8회 승부에 마침표를 찍는 스트라이크가 나왔다. 8회초 무사 1, 2루에서 등판한 LG 김유영이 KT 천성호를 상대로 던진 3구 바깥쪽 속구가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다.

지난 7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LG와 KT 경기 중계 화면. 8회초 김유영이 천성호를 상대로 던진 바깥쪽 속구가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 모습. 사진 | 티빙 중계화면 캡처


주목할 부분은 이 순간 중계 화면에 찍힌 ABS 스트라이크존이다. 화면상으로 네모 존 우측 아래 모서리에 걸쳤다. 화면에 표시되는 스트라이크존과 홈플레이트의 좌우 폭이 같다. 팬이 헷갈릴 수 있는 대목이다.

KBO는 ABS 스트라이크존은 홈플레이트 양쪽을 2㎝ 늘려서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중계화면에는 생략된 것으로 보인다. 더그아웃에 배치된 태블릿은 달랐다. 태블릿상 스트라이크존은 홈플레이트 양쪽을 2㎝ 늘린 게 적용됐다. 현장과 팬이 보는 스트라이크존이 다르다는 의미다. ABS 판정에 대한 물음표가 커질 수 있다.

KBO 관계자는 ‘중계 화면에 표출되는 ABS존이 실제로 인식되는 존과 동일한가?’라는 질문에 “좌우 2㎝가 커진 게 적용된 존이다. 하지만 시각적인 편의를 위해 홈플레이트를 넣었는데 이게 오히려 혼돈을 주는 것 같다. 차후 홈플레이트 그림은 삭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장 차이도 적용이 됐나?’는 물음에는 “적용이 됐다. 신장이 작은 선수와 큰 선수가 타석에 설 때 중계 화면에서 네모 크기는 같다. 하지만 공이 찍히는 지점은 신장 차이가 적용이 된 것”이라고 답했다.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신장 163㎝ 김지찬과 신장 192㎝ 이재원이 타석에 서도 보이는 네모는 같다. 하지만 중계화면에 표출된 ABS존은 김지찬과 이재원의 신장 차이에 따라 달라진 스트라이크존 상·하단의 크기를 계산한 채 표출하고 있다.

결론이 자연스레 나온다. 판정이 완벽하게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신장 차이에 따라 달라진 존의 크기도 중계 화면에 표출돼야 한다. 신장 차이가 30㎝에 가까운 김지찬과 이재원인데 같은 네모에서 반영하는 것은 결과값만 보여주고 마는 일이다.

즉 과정 공개가 필요하다. 판정을 두고 의심이 가는 볼 혹은 스트라이크의 경우 ABS가 과정부터 결과까지 시뮬레이션하는 장면을 보여줘야 한다. 메이저리그(ML)는 2015년부터 ABS를 판정에 이용하지는 않으나 시뮬레이션과 전력분석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더불어 ESPN 중계에서는 스트라이크존을 3차원 기둥으로 구현해 특정 볼·스트라이크 판정을 시뮬레이션한다. 3차원으로 판정한 시뮬레이션 화면을 보여주는 게 2차원보다 설득력 있다.

메이저리그 ESPN 중계에서 구현되는 3차원 스트라이크존. 사진 | MLB.com 캡처


구단이 ABS를 두고 의문을 품는 부분도 여기에 있다. 각 구단이 자체 수집하는 트래킹 데이터에 볼 판정 영역도 있다. 구단 트래킹 데이터와 ABS가 다르게 측정되는 경우가 많다. 특정 구장에서는 볼 판정이 일치한 데 또 다른 구장에서는 차이가 크다. 좌우 2㎝를 확대해서 봐도 그렇다.

한 수도권 구단 사령탑은 “ABS가 구장마다 다른 것은 확실해 보인다. 느낌상으로는 시범경기와 또 달라진 것 같기도 하다”며 의문 부호를 던졌다. bng7@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