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조롭지만 풍성한 일상 담은 詩, 그래서 영화가 됐다

오경진 2024. 4. 12.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를 마음에 품은 사람이라면 짐 자무시 감독의 영화 '패터슨'에 관해 한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자무시 감독은 미국 시인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1883~1963)의 서사시 '패터슨'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윌리엄스 시 세계의 정수를 보여 주는 대작 '패터슨'이 한국어로 옮겨졌다.

난해한 시집을 꿰뚫기 위한 키워드는 바로 도시로서의 패터슨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패터슨/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지음/황유원 옮김/읻다/344쪽/2만 1000원
미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인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는 평생 시와 소설을 쓰면서 의사로도 일했다. 작품으로는 ‘패터슨’ 외에도 사후에 퓰리처상을 받은 ‘브뤼헐의 그림들과 다른 시들’을 남겼다. ⓒ이브 아놀드·다 제공

시를 마음에 품은 사람이라면 짐 자무시 감독의 영화 ‘패터슨’에 관해 한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미국 뉴저지주의 소도시 패터슨에 사는 버스 운전사 패터슨이 반복되는 일상을 살며 시를 쓰는 이야기다. 자무시 감독은 미국 시인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1883~1963)의 서사시 ‘패터슨’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시와 시인, 영화의 제목과 정보만 간단히 나열했을 뿐인데도 왜인지 리듬감이 느껴지는 건 기분 탓일까.

윌리엄스 시 세계의 정수를 보여 주는 대작 ‘패터슨’이 한국어로 옮겨졌다. 시인이자 번역가인 황유원의 번역으로 만나는 국내 첫 완역본이다. 다만 읽기 전에 얼마간 마음의 준비는 필요해 보인다. 장르가 서사시인 만큼 분량이 적지 않으며 윌리엄스가 원문에서 구사한 리듬과 언어적 실험을 그대로 복원한 탓이다. 편한 마음으로 덤벼들었다간 낭패를 보기 십상이다.

난해한 시집을 꿰뚫기 위한 키워드는 바로 도시로서의 패터슨이다. 윌리엄스가 이 도시의 역사를 기반으로 시를 창작했기 때문이다. 낙차 큰 폭포가 아름다운 도시였던 패터슨이 산업화를 겪으면서 거기에서 다양한 차별과 억압이 생겨나고 그로 인해 갈등이 빚어진다. 시집은 이런 패터슨의 변천사를 비단 윌리엄스의 운문뿐만 아니라 지역 신문 등에서 발췌한 산문형 텍스트와 함께 병치하며 생동감 있게 전달한다.

“개별적인 것들로부터 / 시작할 것, / 그리고 결함을 지닌 수단으로 / 전부 그러모아 그것들을 보편화할 것 / 수많은 개들 가운데 / 그저 또 한 마리의 개처럼 / 나무들에 코를 대고 킁킁거리며… ”(15쪽)

시집의 도입부는 꽤 의미심장하다. “개별적인 것에서 시작”한다는 말은 시인의 시론을 함축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윌리엄스는 시와 소설을 쓰면서 소아과 및 일반내과 의사로도 평생 일했다. 그는 어쩌면 일상에서 환자 한 명 한 명을 관찰하면서 도시의 큰 그림을 그려 냈던 것일지 모르겠다. 매일 버스를 운전하면서 승객들의 얼굴을 들여다보고 그걸 시로 옮겼던 영화 ‘패터슨’의 주인공 패터슨의 삶과도 묘하게 연결되는 듯하다.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