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22대 국회의원 출사표 던진 교수들…총선 성적표는?

이지희 2024. 4. 11. 14: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교수 출신 중 국민의힘 후보자는 울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웃었다.

11명의 교수 출신 후보자를 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국민의힘 강세 지역인 부산·대구·경남·경북을 제외하고 모두 당선됐다.

35명의 비례대표 후보를 냈던 국민의힘 비례정당 국민의미래에서는 7명의 교수 출신 후보자 중 5명이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30명의 후보자를 낸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서는 3명의 교수 출신 후보자 중 2명이 당선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 웃고, 국민의힘 울었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일인 10일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다목적배드민턴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선거사무원들이 개표작업을 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교수 출신 중 국민의힘 후보자는 울고,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웃었다. 이번 총선에 출마한 교수 출신 후보자는 약 50명. 교수 출신 후보자의 성적표는 국민의힘 참패, 더불어민주당 선전으로 기록됐다.

22대 총선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은 가장 많은 총 20명의 교수가 지역구 후보로 나섰다. 그 중 지역구에서 당선된 교수 출신 후보자는 권영진 계명대 석좌교수(달서구병)와 이성권 동아대 특임교수(사하구갑) 단 둘뿐이다.

11명의 교수 출신 후보자를 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국민의힘 강세 지역인 부산·대구·경남·경북을 제외하고 모두 당선됐다. 남병근 신한대 석좌교수(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을), 김준혁 한신대 부교수(수원시정), 차지호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부교수(오산시), 이상식 용인대 경찰행정학과 객원교수(용인시갑), 손명수 서울과기대 철도전문대학원 교수(용인시을), 황명선 건양대 석좌교수(논산시계룡시금산군) 등 6명이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유세 기간 주목받았던 곳은 교수 대 교수가 맞붙었던 수원시정이다. 논란의 대상이었던 김준혁 한신대 교수와 이수정 경기대 범죄교정심리학과 교수의 격전지다. 김 후보는 '김활란 이화여대 총장의 성상납' 발언 등으로 이화여대 총동문회의 사퇴 요구를 받았다. 이 후보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파 875원' 발언에 대해 “대파 한 단이 아닌 한 뿌리”라고 옹호해 논란에 불을 지폈다. 두 후보는 개표 내내 엎치락뒤치락했지만 득표율 각각 50.86%대 49.13%의 근소한 차이로 김 후보가 당선됐다.

국민의힘의 대표적 경제통으로 꼽혔던 윤희숙 서울대 행정대학원 객원교수도 중구성동구갑에서 고배를 마셨다. 전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이자 21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윤 후보는 2020년 국회 본회의에서 “저는 임차인이다”라는 5분 연설로 야당의 임대차 3법을 비판하면서 주목받았다. 여론 조사에서도 판세를 가늠할 수 없었던 중구성동구갑이었지만 민심은 전 권익위원장을 지낸 전현희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35명의 비례대표 후보를 냈던 국민의힘 비례정당 국민의미래에서는 7명의 교수 출신 후보자 중 5명이 국회에 입성하게 됐다. 30명의 후보자를 낸 더불어민주당의 비례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서는 3명의 교수 출신 후보자 중 2명이 당선됐다.

비례정당 당선자 중에서는 의사 출신 후보자가 눈길을 끈다. 국민의미래 인요한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는 한국형 앰뷸런스를 도입한 공로를 인정받아 특별귀화한 인물이다. 지난해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을 맡은 지 두 달만에 물러났다가 총선에서 국민의미래 선거대책위원장이란 중책을 맡고 국회로 입성했다. 정부와 의료계가 의대 증원으로 맞서는 상황에서 전공의와 윤 대통령의 대화를 줄곧 호소했다.

더불어민주연합의 김윤 당선자도 서울대 의대 교수 출신이다. 김 교수는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을 적극적으로 찬성해 왔다. 지난 2월 MBC 백분토론에 의대 증원 찬성 패널로 출연해 “OECD 국가와 비교해 우리나라 인구당 의대 졸업생 수가 절반 수준”이라며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스스로를 '의사들의 공공의 적'이라고 칭할 만큼 의료 개혁에 앞장서 온 인물이다.

오랜 시간 고등교육계에 몸담은 이들이 출마했지만 고등교육 관련 교육 공약은 눈에 띄지 않았다. 대학교육연구소는 “22대 총선 후보자들의 공약을 살펴본 결과 R&D 예산 삭감과 의료정책 등 국민적 관심이 높은 분야에 대한 공약은 있었지만 그 외 고등교육 공약이 부실했다”고 평가했다. 집권 여당의 지방대학의 위기, 고등교육재정 확보 등에 대한 대책이 빠진 점, 거대 야당의 지방대 육성 방안과 학령인구 감소 대응 방안 등이 보이지 않는 점을 지적했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