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to streamline the distribution route (KOR)

2024. 4. 11. 07: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A senior official at the National Apple Producers Association, who has been growing apples in Uiseong, North Gyeongsang, for 15 years, says, "Instead of spending tax money to lower the market price artificially and temporarily, the money should be spent on building a streamlined distribution system."

정부가 농축산품 물가 안정에 쏟아붓고 있는 1500억원도 그 긴 유통 파이프라인 어딘가로 스며들어 사라지고 만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Without changing the multi-layered intermediate stages, it is a distant dream to offer “quality produce at affordable prices.”

PARK SU-RYEONThe author is head of the industry news department at the JoongAng Ilbo. Temu is the most threatening arm of China’s e-commerce sweeping the world. Founded in 1980 by a former Google engineer, Temu redefined China as the “marketplace of the world,” rather than the “factory of the world.”

Temu’s identity is “cheap prices.” It sells Chinese-manufactured goods at one-tenth of the prices on Korean online shopping platforms. It completely eliminated the middleman between factories and consumers.

Consumers whose lives have become tougher due to high prices are also the winners of the deal. But the status of Chinese factories, which had been subcontracted manufacturers of the wholesalers around the world, has elevated thanks to Temu. The factories are making bigger profits after turning into sellers. Temu’s shadow — such as counterfeits, harmful substances, and suspicions of labor exploitation — is concealed by the strong sunlight of “cheap prices.”

Therein lies the essence of distribution: managing resources and risk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so that good products can be supplied at lower prices. The solution to the soaring prices of green onions and apples also should be found in the essence of distribution.

In Korea, the system for distributing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wholesale market auctions has been in place for more than 40 years. Aside from some direct transactions at select marts and consumer cooperatives, most agricultural produce goes through the “black box” of 33 public wholesale markets nationwide to be marked up significantly. There are multiple layers between the producers and consumers: from farmers to local merchants, wholesale markets, middle wholesalers, retail merchants and finally to consumers.

As a result, farmers’ income could not grow even when the price of an apple tripled to 6,000 won ($4.40) from 2,000 won at a retailer in Seoul last month. The government spent 150 billion won to stabiliz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e, but the money disappears somewhere in the distribution pipeline.

A senior official at the National Apple Producers Association, who has been growing apples in Uiseong, North Gyeongsang, for 15 years, says, “Instead of spending tax money to lower the market price artificially and temporarily, the money should be spent on building a streamlined distribution system.”

As the supply of fresh produce depends on weather conditions and requires more money for logistics and storage than industrial products, the role of the middle distributor is not small. But without changing the multi-layered intermediate stages, it is a distant dream to offer “quality produce at affordable prices.”

In an era when crop prices fluctuate due to abnormal temperatures from climate change and reduced productivity from aging farmers, makeshift measures cannot rein in the soaring prices of fresh produce.

유통을, 유통하라박수련 산업부장

전세계를 휩쓰는 차이나 커머스 중 가장 위협적인 건 테무다. 구글 엔지니어 출신 1980년생이 창업한 테무는 중국을 ‘세계의 공장’이 아니라 ‘세계의 마트’로 재정의한다.

테무의 핵심 정체성은 ‘싼 가격’이다. 중국산 공산품을 국내 플랫폼의 10분의 1 값에 판다. 공장과 소비자 사이에 미들맨(middle men, 중개인)을 싹 없앴다.

고물가로 삶이 팍팍해진 소비자들도 이 거래의 승자지만, 전세계 도매상들의 하청 제조업자에 머물던 중국 공장들은 테무를 통해 신분이 달라졌다. 판매자로 변신해 더 큰 이윤을 남긴다. 짝퉁, 유해물질, 노동착취 의혹 같은 테무의 그림자는 ‘싼값’이라는 센 볕에 가려진다.

여기서 유통의 본질을 본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리를 좁혀 좋은 물건을 더 싸게 공급하도록 자원과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 ‘대파 875원’ 논란이나 ‘금사과’ 문제의 실마리도 이 유통의 본질에서 찾아야 한다.

국내에선 농산물을 도매시장 경매를 거쳐 유통하는 제도가 40년 이상 유지되고 있다. 마트 등 일부 직거래를 빼면 대부분의 농산물은 전국 33개 공영도매시장의 블랙박스를 거쳐 금값이 된다. 생산농가와 소비자 사이에 여러 단계(농가→산지 상인→도매시장→중도매인→소매상인→소비자)가 필수인 구조다.

그러다 보니 농가에서 2000원 남짓에 넘긴 사과 한 알 값이 지난달 서울 소매점에선 6000원을 돌파했음에도 농가소득은 늘지 않는다. 정부가 농축산품 물가 안정에 쏟아붓고 있는 1500억원도 그 긴 유통 파이프라인 어딘가로 스며들어 사라지고 만다. 15년간 경북 의성에서 사과를 재배해온 권혁정 전국사과생산자협회 정책실장은 “세금으로 시장가격을 인위적ㆍ일시적으로 낮추려 애쓸 게 아니라, 유통단계를 줄일 시스템 구축에 돈을 쓰라”고 말한다.

작황에 따라 공급량이 달라지고, 공산품보다 물류 및 보관비용이 더 드는 신선식품에선 유통 중간상의 역할도 작지 않다. 그러나 그 중간단계를 줄이지 않으면 ‘좋은 먹거리를 더 값싸게’는 요원한 꿈일 뿐이다. 이상기온으로 작황 널뛰기가 심해지고 농촌고령화로 생산성 저하를 피할 수 없는 시대엔 임기응변만으론 사과값도 대파값도 잡을 수 없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