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대 총선, 범야권 190석 '압승'…국힘 110석 '개헌 저지선' 확보

박기호 기자 2024. 4. 11. 04: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2대 총선이 정권 심판론을 내세운 야권의 압승으로 마무리됐다.

국민의힘은 완패했지만 개헌 저지선(100석) 확보로 그나마 최악은 면했다는 평가다.

10일 실시된 22대 총선에서 11일 오전 3시 50분 기준, 전국에서 개표가 96.35% 이뤄진 가운데 전국 254곳의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161석, 국민의힘은 90석, 새로운미래 1석, 개혁신당 1석, 진보당은 1석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범야권 190석 이상…여대야소 22대 국회, 정국주도권은 야당에
국힘, 총선 3연패…대통령 거부권 지켰지만 혹독한 심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해찬·김부겸 상임공동선거대책위원장 등 당 지도부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제22대 국회의원선거(총선) 민주당 개표 상황실에서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며 환호하고 있다. 2024.4.1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박기호 기자 = 22대 총선이 정권 심판론을 내세운 야권의 압승으로 마무리됐다. 국민의힘은 완패했지만 개헌 저지선(100석) 확보로 그나마 최악은 면했다는 평가다.

10일 실시된 22대 총선에서 11일 오전 3시 50분 기준, 전국에서 개표가 96.35% 이뤄진 가운데 전국 254곳의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은 161석, 국민의힘은 90석, 새로운미래 1석, 개혁신당 1석, 진보당은 1석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46석이 걸린 비례대표는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19~20석, 민주당의 연합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이 14석, 조국혁신당은 12석, 개혁신당은 1~2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합산하면 민주당은 175석, 국민의힘은 110석, 조국혁신당 12석, 개혁신당 2~3석, 새로운미래 1석, 진보당 1석을 확보할 가능성이 크다.

수도권은 야권의 압승으로 결론이 났다. 48석이 있는 서울에선 민주당이 37곳, 국민의힘이 11곳에서 앞서고 있다. 60석의 경기도에선 민주당이 53곳, 국민의힘은 6곳, 개혁신당은 1곳에서 앞섰다. 14석의 인천에선 민주당 12곳, 국민의힘은 2곳에서만 승리했다. 물론, 국민의힘은 야권 우세지역이었던 도봉갑과 마포갑에서 김재섭 후보와 조정훈 후보가 각각 당선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40석이 달린 부산·울산·경남(PK)에선 국민의힘이 선전했다. 18석이 있는 부산에선 국민의힘이 16석, 16석의 경남에선 13석, 6석이 있는 울산에선 4곳에서 승리했다. 당초 낙동강벨트를 위시한 PK에서 민주당 돌풍이 불 것으로 예상됐지만 국민의힘이 사수했다.

충청권은 민주당이 우세했다. 민주당은 지난 총선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대전의 7석을 싹쓸이했고 11석이 있는 충남에선 8석을, 8석의 충북에선 5석을 확보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 등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 마련된 국민의힘 제22대 국회의원선거 개표상황실에서 출구조사 결과를 시청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4.4.10/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이 같은 결과로, 22대 국회는 21대 국회와 마찬가지로 여소야대 국면이 이어지게 됐다. 민주당과 민주연합, 조국혁신당 등을 합하면 180석이 넘는다. 따라서 지난 국회와 마찬가지로 야당은 법안 처리에 있어서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을 통한 강행 처리가 가능하게 됐다.

특히, 지난 총선과 비교하면 민주당은 의석이 5석가량 줄었지만 단독 과반을 확보했을 뿐만 아니라 당 출신 인사들이 범야권에 포진해 있어 여권을 견제할 수 있는 고지를 점하게 됐다.

게다가 지난 대선과 지방선거의 연이은 패배를 압승으로 끊어냈다는 점은 큰 의미를 둘 만해 보인다. 한때 범야권 200석 가능성이 제기됐기에 다소 아쉬움은 남을 수는 있어 보인다.

국민의힘 입장에선 너무나도 뼈아픈 결과다. 총선을 위해 지도 체제까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서 대비했지만 속수무책이었다. 전국 단위 선거 3연승에 실패했을 뿐 아니라 총선 역시 3연패다. 지난 총선에서 무너졌던 수도권과 충청권의 재건에도 실패했다.

또한 입법 주도권도 야권에 뺏기게 되면서 22대 국회에서도 야권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는 처지다. 3년차에 접어든 윤석열 정부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해야 하는 입장에서 쉽지 않은 길을 걷게 된 셈이다. 야권의 협조 없이는 입법 활동도 윤석열 정부의 각종 개혁도 어렵게 됐다. 따라서 정부의 향후 국정운영 기조의 대대적인 변화 역시 요구받게 됐다.

지난 총선보다 7석가량 의석이 늘고 개헌 저지선과 대통령의 거부권(재의요구권)은 지킬 수 있게 된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로 보인다.

goodda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