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강원원팀’ 릴레이 특별기고] ① 성장통 앓는 대한민국, ‘교육’이 해법이다

김헌영 2024. 4. 11. 03: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김헌영 강원대 총장

22대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4·10 총선이 끝났다. 국회에 입성한 당선인들에게 축하의 박수를 보내며, 끝까지 선의의 경쟁을 펼친 모든 후보자에게도 위로와 격려를 전한다. 선거는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이제는 선거기간 동안 흩어졌던 지역주민의 마음을 한곳으로 모으고, 지역의 새로운 도약을 향해야 할 시간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 청년인구의 수도권 유출, 지역 불균형 심화가 연쇄반응을 일으키며 커다란 위기에 직면해 있다. 국토 면적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에 인구와 경제 소득, 일자리의 절반 이상이 몰려 있으며, 작년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OECD 회원국 중 출산율이 1명을 밑도는 유일한 나라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의 불확실성과 복잡성도 증가하고 있다. 공유택시나 에어비앤비(AirB&B), 챗GPT 같은 새로운 산업 플랫폼이 전통적인 산업과 일자리 시장에 혁신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코로나19에 이어 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글로벌 위기는 경제적 불안정성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의 급변하는 불확실성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먼저 초중등 교육에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사고와 학습적 기초체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 능력, 비판적 사고력, 협력과 같은 기본적인 역량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대학 교육은 학생들이 사회 진출 전 마지막 교육단계인 만큼,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산업현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은 사회가 요구하는 전문지식과 기술을 제공하는 동시에, 학제 간 융합, 산학협력, 국제교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급변하는 현대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T형 융합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T형 융합인재란, 한 분야에 깊이 있는 전문 지식을 가지면서도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와 협업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지역과 대학이 수평적이고 유기적인 ‘지학(地學) 협력’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대학은 단순한 학문의 전당을 넘어, 지역사회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역할을 수행한다. 대학이 가진 자원과 지식을 활용하여 지역인재를 육성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해결하여,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세계 각국이 반도체와 인공지능(AI)과 같은 첨단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OECD 평균의 67.5%에 그치는 고등교육 1인당 공교육비와 등록금 동결로 인한 대학 재정의 어려움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국가의 장기적인 발전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인 지원과 더불어, 이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는 것은 국회가 책임지고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다.

세계적인 도시에는 세계적인 대학이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와 스탠퍼드 대학, 독일의 ‘히든 챔피언(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강소기업)’과 대학의 협력이 대표적인 사례다. 일본은 ‘10조엔(약 90조원) 대학 펀드’를 조성해 대학을 지원하고 있으며, 중국도 ‘쌍일류대학’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막대한 투자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중국 칭화대의 예산은 410억 9300만 위안(약 7조 5000억원) 규모로 강원특별자치도의 한 해 예산과 맞먹을 정도다.

다행히 강원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지역 교육환경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 11월 대학 1개교당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에서 강원대-강릉원주대와 한림대가 선정된 데 이어, 올해 2월에는 춘천과 원주, 화천이 ‘교육발전특구’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2025년 ‘지역 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전환과 함께, 도(道)는 대학 지원사업을 총괄할 ‘인재육성과’를 신설하고, 향후 5년간 지방비 5170억원을 비롯해 총 1조 8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를 계획하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지역 교육 발전에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살고 국가가 발전한다. 새롭게 구성된 제22대 국회가 그동안의 ‘성장통’을 극복하고 강원특별자치도와 대한민국의 미래를 더 활짝 열어나가길 기대한다.

Copyright © 강원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