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비밀' 규명 영감 준 이론 물리학계 선구자

김정욱 기자 2024. 4. 10. 18:3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 피터 힉스 에든버러대 명예교수가 8일(현지 시간) 별세했다.

힉스 교수는 2013년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로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 브뤼셀자유대 명예교수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의 입자' 예견한 英 물리학자 피터 힉스 별세
우주탄생 원리 '기본입자' 예측
반세기 지나 입자 존재 확인돼
연구 공로로 노벨물리학상 수상
故이휘소 박사 덕 '힉스입자' 불려
"전세계 과학자에 상상력 안겨줘"
2013년 12월 영국 런던 과학박물관에 선 피터 힉스 교수. AP연합뉴스
[서울경제]

‘신의 입자’로 불리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의 이론 물리학자 피터 힉스 에든버러대 명예교수가 8일(현지 시간) 별세했다. 향년 94세.

에든버러대는 9일 성명에서 “힉스 교수가 짧게 질환을 앓고 나서 8일 자택에서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힉스 교수는 1964년 힉스 보손(boson·기본 입자)의 존재를 예측했다. 힉스 입자는 우주 탄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 중 가장 유력한 표준 모형을 설명하기 위해 정의된 입자다.

표준 모형에 따르면 우주 만물은 12개의 소립자로 구성된다. 모든 소립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입자가 존재해야 표준 모형이 성립하는데 이것이 힉스 입자다.

힉스 교수가 이런 메커니즘을 제시한 후 반세기 가까이 지나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과학자들의 실험을 통해 힉스 입자의 존재가 2013년 학술적으로 공식 확인됐다.

이 입자는 발견이나 측정이 극도로 어려워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리언 레더먼이 저서에서 힉스 입자를 ‘빌어먹을(goddamn) 입자’로 불렀다가 출판사의 권유로 ‘신(God)의 입자’로 바꾸면서 이것이 별칭으로 굳어졌다.

이론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동료 과학자와 내기를 하면서 힉스 입자가 없다는 쪽에 돈을 걸었다가 100달러를 잃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호킹 박사는 나중에 힉스 입자가 발견됐다는 소식을 듣고 힉스 교수가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힉스 입자의 존재가 확인됐을 당시 83세였던 힉스 교수는 CERN의 발표 이후 “내 평생 증명이 일어나기를 기대하지 못했다. 가끔은 옳다는 건 참 좋은 일”이라며 눈물을 훔쳤다고 영국 BBC는 전했다.

피터 힉스 교수가 2013년 12월 스웨덴 스톡홀름 시청에서 열린 노벨상 연회에서 연설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힉스 교수는 2013년 힉스 입자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로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 브뤼셀자유대 명예교수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힉스 입자에 자신의 이름 ‘힉스’만 붙은 것도 다른 학자들의 공로가 무시된다는 생각에 불편하게 여겼다고 한다. 이 입자에 힉스 교수의 이름이 붙은 것은 한국 출신 미국 물리학자 이휘소(벤저민 리) 박사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박사가 학계에서 ‘힉스 입자’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했고 1972년 ‘힉스 입자에 미치는 강력(강한 핵력)의 영향’이라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1929년 잉글랜드 뉴캐슬에서 태어난 고인은 킹스칼리지런던(KCL)에서 물리학을 전공하고 에든버러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뒤 주로 에든버러대에서 연구했다. 겸손하고 수줍은 성격이었던 그는 1999년 작위를 거절한 적이 있다고 이후 털어놓기도 했다. 2013년에는 작위는 부여되지 않는 명예 훈작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받았다.

피터 매시슨 에든버러대 부총장은 “힉스 교수는 비전과 상상력으로 이 세상에 대한 지식을 확장해준 재능 있는 과학자였다”며 “그의 선구자적 작업이 과학자 수천 명에게 동기를 부여했고 그의 유산은 향후 여러 세대에 영감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렸다.

힉스 입자의 존재를 확인하는 실험을 이끌었던 파비올라 자노티 CERN 소장은 “힉스 교수는 단순하고도 심오한 방식으로 원리를 설명해 전 세계 물리학자들에게 영감을 줬다”며 “그가 너무나 그리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욱 기자 mykj@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