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투표율' 속 대통령실·장관 출신 성적표는?…상당수 '고전'

이기림 기자 2024. 4. 10. 14:3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용산 대통령실 참모 38명 중 14명 공천…여론 조사 열세 혹은 접전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0일 서울 강동구 고분다리전통시장 내 북까페도서관 '다독다독'에 마련된 천호3동 제4투표소 앞에서 한 반려견이 투표 중인 반려인을 기다리고 있다. 2024.4.10/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제22대 총선 오후 2시 기준 투표율이 56.4%으로 지난 총선보다 3.4%p 높은 가운데,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출신 참모들과 장관 출신 출마자들의 성적표가 주목된다.

10일 여권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 공천을 신청한 용산 대통령실 출신 참모는 38명이다. 단수 또는 전략공천된 9명을 비롯해 경선을 치른 19명 중 최종 통과한 5명까지 총 14명이 공천을 받았다. 10명은 컷오프됐다.

앞선 총선에서 청와대 출신 참모들에게 '대통령 프리미엄'이 작용하면서 눈길을 끌면서 이번에도 용산 참모들에 대한 공천 여부에 이목이 쏠렸다. 그러나 36.8%만 본선행 티켓을 쥐게 됐다.

비서관급 이상 핵심 참모들의 경우 13명 중 11명이 공천됐다. 김오진 전 관리비서관(경북 김천)과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대구 북구갑)만 본선에 나서지 못했다.

강승규 전 시민사회수석은 충남 홍성·예산, 임종득 전 국가안보실 2차장은 경북 영주·영양·봉화·울진에 단수공천됐다. 김은혜 전 홍보수석은 당내 경선을 거쳐 경기 성남분당을에 공천됐다.

주진우 전 법률비서관은 부산 해운대갑에 단수공천됐고, 강명구 전 국정기획비서관과 박성훈 전 국정기획비서관은 경선을 통과해 각각 경북 구미을과 부산 북을에 공천됐다.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은 서울 강남을에 공천을 신청했다가 경기 용인갑을 조정 공천됐고, 장성민 전 미래전략기획관, 전희경 전 정무1비서관(경기 의정부갑), 서승우 전 자치행정비서관(충북 청주상당)도 공천을 받았다.

이들 중에선 여당의 양지로 평가를 받는 지역에 후보로 나선 강승규, 임종득, 주진우, 이원모 등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지만 최근 여론 조사에서는 일부 우세하거나 야당 후보와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전통 강세 지역임에도 이런 결과가 나오는 이유는 '정권 심판론'이 거세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한 의사 집단행동이 장기화한 것에 '이종섭·황상무 논란', 대파 등 논란이 더해지면서 당정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른바 '친명횡재·비명횡사'로 불리던 더불어민주당 공천 논란이 용산발 논란에 의해 덮이는 경우가 생기면서 일부 후보들은 '대통령과 거리두기'에 나서기도 했다.

김 전 수석은 지난달 17일 이종섭 당시 호주대사에게는 즉시 귀국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조사에 임하고, 황상무 당시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을 향해서는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행정관급의 경우 4명만 생존했다. 김기흥 전 부대변인(인천 연수을), 신재경 전 선임행정관(인천 남동을), 이승환 전 행정관(서울 중랑을), 조지연 전 행정관(경북 경산) 등이다.

조 전 행정관은 여당 양지에 추천됐지만 '친박 좌장'이자 전 경제부총리인 최경환 무소속 후보와 힘겹게 경쟁하고 있다. 다른 행정관 출신 후보들은 모두 험지로 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윤 정부 장관 중에는 총 9명 중 7명이 공천을 받았다. 국회의원직을 겸한 권영세 전 통일부 장관(서울 용산)과 추경호 전 경제부총리(대구 달성)은 본인 지역구에 다시 출마했고,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은 본인 지역구인 강남을 대신 서울 서대문을에 공천됐다.

박민식 전 보훈부 장관은 서울 영등포을에 공천을 신청했지만 서울 강서을 후보가 됐고, 조승환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부산 중·영도, 방문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경기 수원병,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은 인천 계양을에 후보로 나섰다. 이영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공천받지 못했다.

권영세, 박민식, 원희룡, 박진, 추경호 모두 선거 경험이 많고 현역 프리미엄도 있지만, 추 전 부총리를 제외하면 모두 힘든 경쟁을 펼치는 중이다. 특히 원 전 정관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맞붙으면서 오차범위 내 경합을 보이는 여론조사들이 나왔지만, 지지율은 밀리는 것으로 나왔다.

여권 관계자는 "여론조사 공표금지 기간에 후보들이 얼마나 중도층 표를 끌어냈는지에 따라 결과가 예상과 달리 나올 수도 있다"며 "마지막까지 기대를 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lgir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