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살 아들 수영장서 손가락 잘렸는데…"연고 발라라" 분노

장지민 2024. 4. 9. 19: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시관리공사가 운영하는 체육관 수영장의 샤워실에서 미끄러진 어린이가 선반과 벽 사이 이격에 손가락이 끼어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수술 당일 A 씨는 체육관 측에 아이가 손가락 절단으로 접합 수술받았다고 알렸으나, 다음날 연락해 온 체육관 직원은 A 씨에게 "경위서를 받았는데 살점이 떨어져 나간 걸로 기록됐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시간 만에 손가락 일부 찾아 접합 수술
피해자 부모 "패혈증 우려, 분통 터진다"
사진 =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도시관리공사가 운영하는 체육관 수영장의 샤워실에서 미끄러진 어린이가 선반과 벽 사이 이격에 손가락이 끼어 절단되는 사고를 당했다. 해당 아동의 부모는 체육관 측의 초동 조치가 미흡했다고 주장하며 울분을 터뜨리고 있다.

경기 고양시에 거주하는 여성 A 씨는 지난 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열 살 아이 손가락 절단 수술, 도시관리공사의 과실 인정 번복'이란 제목의 글을 올렸다.

A 씨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달 26일 저녁에 발생했다. A 씨의 10세 아들은 이날 오후 6시께 고양체육관 샤워실에서 미끄러졌다. 넘어지지 않으려 선반에 손을 뻗은 아이는 선반과 벽 사이 이격에 오른손 가운뎃손가락이 끼였다.

이후 6시 20분께 아이를 데리러 온 A 씨의 남편이 밖에서 "왜 안 나오냐?"고 아이에게 전화했고, 사고를 당했다는 아들의 말에 탈의실로 찾아갔다. 당시 아이는 혼자 손가락을 감싼 채 앉아있었고, 아이 아빠는 청소하는 어르신에게서 "애가 손가락을 베였다. 연고 바르면 괜찮을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고.

아빠는 아이와 함께 급하게 근처 응급실로 달려갔지만, 병원에서 "손가락이 어디 있느냐"는 말을 들었다. 알고 보니 단순히 베인 상처가 아니라 뼈를 포함한 손톱 중간 부분까지 손가락이 절단된 상태였다.

남편에게 이 소식을 들은 A 씨는 체육관 측에 연락해 "아이 아빠가 지금 가고 있다"며 "손가락을 찾아달라"고 울부짖었다. A 씨는 "응급상황이니만큼 체육관 측이 당연히 119를 불렀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어떠한 조치도 없었다"고 분노를 표했다.

A 씨의 남편은 샤워실 바닥에서 겨우 아들의 절단된 손가락을 찾아 나왔고 그러는 사이 50분 정도의 시간이 지체됐다. 이후 A 씨 부부가 직접 119에 신고해 수지 접합 전문 병원으로 향했으며 아이는 절단 사고 후 3시간 만에 수술받게 됐다.

수술 당일 A 씨는 체육관 측에 아이가 손가락 절단으로 접합 수술받았다고 알렸으나, 다음날 연락해 온 체육관 직원은 A 씨에게 "경위서를 받았는데 살점이 떨어져 나간 걸로 기록됐다"고 전했다.

A 씨는 또한 "체육관 담당자와 통화할 때는 체육관 측이 사고 당시 초동 조치가 미흡했던 걸 인정했고, 과실 유무를 따지지 않고 아이 치료에 할 수 있는 모든 걸 하겠다고 했는데 이후 찾아온 손해사정사는 '그런 얘기 들은 바 없다'며 '과실 유무에 따라 병원비는 자부담이 될 수 있다'고 하더라"며 분노했다.

A 씨는 "인제 와서 과실 유무를 따져야 하는 뒤통수 맞은 상황에 놓였고, 피해자인 저희가 CCTV 없는 곳에서 난 아이의 사고를 증명해 줄 목격자까지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저희는 아이의 피부가 괴사할까 봐 혹은 감염으로 패혈증이라도 올까 봐 전전긍긍하고 있는데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이 상황이 너무 억울하고 원통하다. 도시관리공사는 일을 크게 만들고 싶지 않을 거다. 평범한 저희 맞벌이 부부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느냐"고 분통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