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기계·지방산단 마스터플랜 마련…인천시의료원·어린이교통공원 등 재구성

김지혜 기자 2024. 4. 9. 18:41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천 남동구 구월동에 있는 시청 본관. 인천시 제공

 

인천시가 토지 수용에 어려움을 겪은 ‘인천기계·지방산업단지’의 노후 산단 재생사업을 본격화 한다.

9일 시에 따르면 오는 하반기 10억원을 들여 ‘인천기계·지방산업단지 재생계획 및 재생시행 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한다. 시는 이를 통해 기반시설 및 지원시설 개발 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현재 인천기계산단에는 183개 업체, 지방산단에는 578개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2곳 산단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수는 9천500여명에 이른다.

우선 시는 오는 2028년까지 총 272억원을 들여 주차장과 공원 등의 기반시설을 비롯해 편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시는 노후 산단의 이 같은 기반 및 편의시설 부족 현상이 산단 근무 기피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민간에 복합용지 공모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인센티브도 마련할 예정이다.

특히 시는 종전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인천도시공사(iH)와 협력해 성보공업㈜ 부지 활용 방안도 찾을 예정이다. 앞서 iH는 지난 2019년 성보공업㈜ 땅 5천398㎡(1천630평)를 130억원에 사들여 인천기계·지방산업단지 63만㎡(19만평)에 대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산업단지 일대의 인천시의료원과 인천교공원, 어린이교통공원 등의 부지 확보 문제에 부딪혀 좌초했다.

이 때문에 시는 이번 노후산단 재생사업 구역에 포함해 있는 인천시의료원을 비롯해 동구의 기반시설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노후 산업단지의 활성화를 통해 뿌리산업을 비롯한 첨단산업 융복합 등의 구조고도화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마지막으로는 민간개발을 유도해 산단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지혜 기자 kjh@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