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7년 전력자립도 102%?…산업단지 조성되면 '글쎄'

김소연 기자 2024. 4. 8. 18: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전시가 2037년까지 전력자립도를 102%로 올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전력 생산 계획에 향후 조성할 다수의 산업단지 예상 전력소비량을 포함하지 않아 세밀하지 못한 정책 발표라는 지적이다.

시는 친환경발전소 건설을 통해 오는 2037년까지 연간 1만 3000GW(기가와트) 전력을 생산한다는 계획이지만, 산단에 들어설 기업의 전력소비량까지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촌산단 내 친환경발전소 건설 협약, 연간 1만 3000GW 생산 예상
현재 대전시 전력자급도 1.87%… 2037년 102% 달성 장밋빛 전망
향후 조성될 산단 500만 평+α 입주 기업 전력소비량은 계산서 빠져
대전시청 전경 모습.

대전시가 2037년까지 전력자립도를 102%로 올리겠다고 발표했지만 전력 생산 계획에 향후 조성할 다수의 산업단지 예상 전력소비량을 포함하지 않아 세밀하지 못한 정책 발표라는 지적이다.

시는 친환경발전소 건설을 통해 오는 2037년까지 연간 1만 3000GW(기가와트) 전력을 생산한다는 계획이지만, 산단에 들어설 기업의 전력소비량까지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는 지난달 발전사 2곳과 '교촌 국가산단 등 친환경발전소 건설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대전시와 양 발전사는 오는 2037년까지 액화천연가스(LNG)와 수소를 혼합 연소하는 방식의 친환경발전소 500MW(메가와트)급 4기를 발전공기업의 투자금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이는 시간당 총 2.4GW로, 연 단위로 따지면 약 1만 3000GW 수준이다.

현재 대전시는 1년에 약 1만GW 전력을 사용 중인 반면 자체 전력 생산량은 185GW 수준이다. 이로 인해 전력자립도는 전국 최하위(2021년 기준)인 1.87%를 기록하고 있다. 전력자립도는 해당 지역 내 전력 소비량과 생산량을 비교한 지표다. 전력자립도가 100%라는 것은 해당 지역의 모든 전력 소비가 지역 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충당된다는 것을 말한다.

시는 발전소 건설을 통해 지역 전력자립도가 2037년 102%로 대폭 향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이 같은 대전시 전력 수급 계획에 현재 추진 중인 '산단 500만 평+α' 조성 사업은 제외됐다는 것이다.

시는 지난 2017-2021년까지 지역 전력사용량이 평균 약 0.86% 증가한 점을 바탕으로 전력 수급 계획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조성될 산단 규모나 산단에 들어올 기업의 수, 그 기업들이 사용할 전력량 등은 파악이 어려워 당장 수치화할 수 있는 현재 전력사용량을 활용한 것.

시 관계자는 "향후 산단에 들어설 기업 규모 등을 임의로 정할 수 없어 2017-2021년 지역에서 사용된 전력사용량의 평균 증가율을 계산해 (수치를) 추정했다"며 "계산해보면 약 1만 1000GW가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유성구 교촌동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을 포함한 산단 8곳을 추진 중이다. 최근엔 약 58만 평에 이르는 산단 5곳에 대한 추가 개발 계획도 발표했다. 향후 197만 평 규모의 산단 7곳 추진 계획도 예고한 바 있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산단 조성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들 산단에 입주할 기업은 대략 수백 개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추가 예고된 산단 규모가 작지 않은 만큼, 전력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시가 조성 중인 산단이 주로 배터리, 반도체 등 미래산업 위주로 이뤄질 것이기 때문에 산업 특성상 전력사용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 수밖에 없다"며 "이런 부분까지 고려해 더 심도있게 전력수급에 대해 고민하고 관련 대책을 내놨으면 좋지 않았을까 싶다. '눈 가리고 아웅'식으로 대책 마련하지 말고 정말 전력자립도 100%로 가는 길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