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 "리보세라닙, 수술 전 치료로 식도암 환자 생존율 높여"(종합)

황진중 기자 2024. 4. 8. 15:2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HLB(028300)는 8일 자사 항암신약인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수술 전 화학요법과 병용해 투여 시 식도암(ESCC) 환자의 예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세계 최고권위의 의과학 학술지 란셋의 자매지 '디스커버리 사이언스'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 중인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는 수술이 불가한 간암 환자에 대해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병용 투여 후 암 크기가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줄어 전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임상 결과가 발표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상 2상 결과 국제학술지 란셋 자매지에 전문 게재
수술 후 완전관해(pCR) 43.9% 기록…기존요법 대비 3배 이르러
ⓒ News1 DB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HLB(028300)는 8일 자사 항암신약인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수술 전 화학요법과 병용해 투여 시 식도암(ESCC) 환자의 예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세계 최고권위의 의과학 학술지 란셋의 자매지 ‘디스커버리 사이언스’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HLB는 이미 다양한 임상을 통해 간암 수술 전, 후 보조요법으로 탁월한 효능을 보였던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이 간암 외 다양한 적응증에서도 보조요법으로서 높은 잠재력을 재차 입증한 사례라고 전했다.

이번 임상은 수술이 가능한 41명의 식도편평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이전에 약물을 투여하고 수술 이후에 종양 조직을 염색해 암세포가 줄었는지 판단하는 병리학적 방식으로 진행됐다.

임상 결과 18명(43.9%)의 환자에서 병리학적 완전관해(pCR)가 확인됐다.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요법이 기록한 16% 대비 2.7배에 이르는 결과치다. 객관적 반응률(ORR) 83.3%, 질병통제율(DCR)은 100%를 달성했다.

수술 이후 주변 조직에 미세 잔류 종양이 전혀 남아있지 않다는 의미인 ‘R0 절제율’은 100%에 달해 모든 환자에서 뛰어난 효과가 확인됐다. 수술 이후 잔류 종양은 재발의 주요 원인이 되므로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여겨진다.

HLB는 임상 결과에 따라 이후 2년간 추적 관찰한 환자의 생존율 역시 85.9%로, 환자의 생존 기간에 높은 이점을 제공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저장대학교(Zhejiang University)의과대학의 치 왕(Qi Wang) 교수는 식도암에서의 우수한 임상 결과에 대해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의 병용에 따른 시너지를 강조했다. 리보세라닙이 혈관 정상화와 함께 암의 면역억제기전을 차단해단해주는 한편, 면역항암제인 캄렐리주맙이 강력한 면역세포인 T세포의 공격력을 높여주고 T세포 외에도 NK, B, 골수성 세포에도 작용해 치료 효과를 높였다.

41명의 환자가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을 투여 후 모두 지연 없이 수술을 진행했다는 점에서 높은 안전성도 확인됐다.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진행 중인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는 수술이 불가한 간암 환자에 대해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을 병용 투여 후 암 크기가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줄어 전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임상 결과가 발표됐다.

HLB 관계자는 “늦어도 다음 달 중순까지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간암 신약 허가를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현재 간암에 대한 보조요법이나 다른 여러 적응증에 대한 추가 임상 옵션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j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