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서 무분별한 가지치기 횡행…광주 환경단체 “관리 규정 강화해야”

고귀한 기자 2024. 4. 8. 15:2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가지치기 작업이 이뤄진 가로수의 모습. 광주환경운동연합 제공

광주광역시 도심 곳곳에서 봄맞이 가로수 가지치기가 무분별하게 횡행하면서 환경을 훼손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광주환경운동연합은 “광주 전 지역을 대상으로 가로수 가지치기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5개 자치구 모두에서 과도한 가지치기 사례가 발견됐다”고 8일 밝혔다. 동구 6곳, 북구·서구 각 5곳, 광산구 4곳, 남구 3곳 등 23개 지점 41그루다. 대부분 아파트와 학교, 산책로 등 보행자가 많은 곳에서 확인됐다.

도시 가로수는 인구, 시설물, 자동차 통행 등의 증가로 도시 중심부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는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미세먼지 절감과 소음 감소 효과가 있으며, 시민들에게 그늘과 쉼을 제공해 정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

서울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올바른 가로수 가지치기는 나무 전체의 25% 이상을 제거하지 않아야 한다. 나무의 머리 부분을 무차별적으로 절단하거나 옆 가지 중 굵은 가지를 절단하는 가지치기도 금지된다.

하지만 이런 규정 없이 무분별하게 가지치기가 이뤄지다 보니 일부 가로수는 기둥만 남은 이른바 ‘닭발 나무’ 등으로 불리며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이번 실태조사에 참여한 시민들은 ‘큰 가지가 잘린 모습이 마치 팔이 잘려 나간 것 같아 마음이 불편했다’, ‘ 나무들이 불쌍하게 느껴진다’ 등 의견을 남겼다.

특히 환경단체는 과한 가지치기 방식은 가로수 수목의 형태를 파괴하고, 잎의 성장을 늦춰 광합성을 저해시켜 양분의 축적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한다. 잘라낸 부위에서 일어난 부패는 나무 전체로 확대되는 등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고사한 나무가 쓰러져 인명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올바른 가지치기에 대한 시민 인식개선 활동과 함께 가로수 관리 개선 정책을 지속적으로 요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고귀한 기자 go@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