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의 여신상도 흔든 뉴욕 지진… 여진 계속되나

박영준 2024. 4. 7. 20: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시에서 5일(현지시간) 서쪽으로 60여㎞ 떨어진 곳에서 약 22년 만에 규모 5에 가까운 지진이 발생해 미국에서 인구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북부 지역 주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

CBS, CNN방송 등에 따르면 USGS는 5일 지진 약 7시간30분 후 3.8 규모의 지진을 포함해 수십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 뉴저지서 4.8 규모 지진 발생
인명 피해 없지만 주민 대피 소동
“밀도 높은 암석 때문 흔들림 감지
진앙 근처 더 강한 지진 올 수도”
미국 뉴욕시에서 5일(현지시간) 서쪽으로 60여㎞ 떨어진 곳에서 약 22년 만에 규모 5에 가까운 지진이 발생해 미국에서 인구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북부 지역 주민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 인명 피해나 심각한 건물 파손 등의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뉴저지주 일부 지역에서는 건물 손상으로 주민이 대피하는 등 일부 피해가 보고됐다.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의 타임스퀘어에서 시민들이 지진이 발생했다는 뉴스가 나오는 전광판 주변을 지나고 있다. 미 지질조사국은 뉴욕 서쪽 72㎞, 필라델피아 북쪽 80㎞ 떨어진 뉴저지주 중부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 지진으로 항공, 철도 등의 운행이 일시 중단됐으며 지금까지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AP뉴시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5일 오전 10시23분쯤 뉴저지주 헌터돈 카운티의 화이트하우스역 부근에서 4.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의 여파로 진앙에서 동쪽으로 약 65㎞ 떨어진 뉴욕 맨해튼은 물론 동북쪽으로 350㎞ 넘게 떨어진 보스턴에서도 흔들림이 감지됐다. 자유의 여신상 팔에 달린 폐쇄회로(CC)TV가 흔들리는 모습이 그대로 촬영됐고,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리는 유엔 생중계 화면도 심하게 떨렸다. 맨해튼의 카페나 식당, 가정집에 설치된 카메라에도 지진 당시 상황이 고스란히 담겼다.

USGS는 미국 인구의 8분의 1가량인 4200만명이나 지진을 감지한 것으로 추정했다. 지진은 뉴욕시뿐 아니라 필라델피아 등 동부 전역의 도시에서도 감지됐다. 지진 규모가 5를 넘지 않았는데도 흔들림이 이처럼 넓게 펴진 이유는 ‘밀도가 높은 오래된 암석’이라는 미국 동부 지질의 특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다행히 지진으로 인명 피해 등은 발생하지 않았다. JFK 국제공항, 뉴어크 국제공항, 라과디아 공항의 항공기 이착륙이 일시적으로 중단됐다가 복구됐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뉴저지에서 3개 건물의 구조적 손상이 보고돼 10개 가구가 대피했다. 뉴욕시는 지진이 발생하고 약 40분이나 지나 시민들에게 지진 발생 사실을 알리는 재난 문자를 발송했다가 뒤늦은 대응에 따른 시민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

지진의 여파로 4.8 규모의 지진과 유사하거나 더 강한 지진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CBS, CNN방송 등에 따르면 USGS는 5일 지진 약 7시간30분 후 3.8 규모의 지진을 포함해 수십차례의 여진이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여진은 뉴저지를 중심으로 발생했지만 동부 해안 전역에서 감지됐다. CBS는 지진학자들이 진앙 근처에서 이번 주 동안 더 많은 여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도 전했다.

뉴욕타임스는 뉴욕에 180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사이 벽돌로 지어진 약 20만채의 다가구주택이 지진에 취약하다고 보도했다. 해당 건물들은 건축법에 내진 설계 조항이 추가된 1995년 이전에 지어진 데다 철근 등으로 보강되지 않은 채 벽돌로만 쌓아 올려 강한 지진에 휘거나 구부러지지 못하고 그대로 무너져 내릴 수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yj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