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제2의료원 ‘안갯속’…예타 신청도 불투명

박귀빈 기자 2024. 4. 7. 08:01
음성재생 설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복지부, 수익성 등 부정적 입장...5월 예정된 예타조사도 미지수
6일 오전 인천 동구 인천의료원에 야간 연장 진료를 알리는 현수막과 함께 사람들이 분주하게 돌아다니고 있다. 박귀빈기자

 

인천의 제2의료원 설립이 표류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의료원의 적자 등을 우려, 설립에 부정적인 탓에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 등 첫 단추도 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안팎에선 최근 대형병원 전공의 집단 사직과 같은 비상 상황을 대비한 제2의료원 등 공공의료 확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부평구 산곡동 캠프마켓 A구역 일부 4만㎡(1만2천100평)에 총 면적 7만4천863㎡(2만2천646평), 400병상 규모의 제2의료원을 오는 2029년 개원 목표로 추진 중이다. 시는 예비타당성 조사 신청에 앞서 지난해 10월부터 복지부와 병상 규모 등을 포함해 타당성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

그러나 복지부가 수익성 등을 이유로 제2의료원 추진에 난색을 표하면서 사업 추진이 제자리 걸음이다. 복지부는 인천의료원의 만성 적자 문제를 비롯해 의료진의 잦은 이탈, 사람들의 공공병원에 대한 낮은 신뢰도 등을 근거로 들며 시의 제2의료원 추진에 부정적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 때문에 시가 당초 계획한대로 다음달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역시 통과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앞서 울산의료원과 광주의료원 등은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비용 대비 편익(B/C)값이 1을 넘지 못해 좌초하기도 했다.

특히 시는 종전 의료원의 코로나19 등 감염병에 대응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제2의료원만의 특별한 기능을 발굴하는데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인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환경성 전문질환센터 같은 특화한 치료 및 연구기관 등이다. 서울의료원은 현재 아토피천식센터를 운영 중이다.

시는 내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오는 2026년 공사에 착공하겠다는 계획의 차질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 조승연 인천 의료원장은 “정부가 인천의 제2의료원 설립에 나서는 등 공공의료 확대를 이뤄내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제2의료원 설립을 위해 우선 인천의료원이 코로나19의 후폭풍에서 벗어나 안정적 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화 기능을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복지부를 설득, 예타 조사 신청이 이뤄지도록 애쓰겠다”고 했다.

한편, 인천에는 인천의료원과 백령병원을 비롯해 인천적십자병원, 근로복지공단인천병원, 인천보훈병원, 경인권역재활병원, 인천제1·2시립노인치매요양병원 등 8곳의 공공병원이 운영 중이다.

박귀빈 기자 pgb0285@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