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민주당 다 싫고, 심판론도 지겹다"…2030세대 16명의 속내

박소연 기자, 오석진 기자, 이병권 기자, 정진솔 기자, 천현정 기자 2024. 4. 6. 0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300][MT리포트] '총선 캐스팅보터' 2030 표심②
[편집자주] 대한민국의 운명이 2030의 손에 달렸다. 진보가 우세한 4050세대, 보수로 편향된 60대 이상과 달리 청년층은 어느 한 쪽으로도 크게 기울지 않았다. 선거 승패를 좌우하는 '스윙보터' 2030세대는 이번 4.10 총선에서 어떤 선택을 할까.
2030 유권자 심층인터뷰 참여자/그래픽=조수아

"최근 여당과 야당 모두에 실망하고 정치에 많이 무관심해진 건 사실이다. 그래도 투표는 무조건 해야지. 나도 대학 나온 지성인인데."(35세 직장인 성종원씨(이하 가명)·자칭 진보 성향)

"나는 (정치에) 관심은 있으니 유관심 무당층이다."(27세 직장인 김도훈씨·자칭 보수 성향)

정치에 무관심하지만 투표는 할 예정이고, 정치에 관심은 있지만 무당층이라는 2030 세대. 이들은 진영 논리에 정치성향이 맞춰진 40대 이상 기성세대와는 다른 사고 방식을 지녔다. 2년 전 대선에서 이준석(개혁신당 대표)이라는 청년 정치인이 주도한 '세대연합론' 전략 등으로 한껏 주목받았던 세대지만, 이번 총선에선 스스로 소외됐다고 느낀다고 한다.

유권자의 약 30%에 달하지만 중도 무당층 비중은 어느 세대보다 높은 2030세대의 표심은 이번 4·10 총선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이 2030세대 남녀 16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마음이 어딜 향하고 있는지 생생한 목소리를 들어봤다.

"정권에 경고 필요하지만, 이재명도 싫어"
이병권 기자가 4일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김도훈씨(27)을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박소연 기자
이들은 정치성향과 관계 없이 대체로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모두에게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었다. 지난 대선 때 민주당에 실망해 윤 대통령에게 투표했지만 후회한다는 이들도 있었다. 거대 양당 사이에서 우열을 가리다가 마음의 결정을 못한 이들, 정치성향 구분 자체를 부정하는 이들도 있었다.

자신을 진보성향이라 밝힌 진예솔씨(25·여)는 윤 대통령에 대해 "정치를 그렇게 오래 본 건 아니지만 불통이란 느낌이 든다"고 했다. 그는 "의대 정원 증원의 취지는 공감하지만 증원만이 답이 아니라 필수과에 쿼터를 준다든가 지방 쿼터를 의무화해야 하는데. 그리고 의사들이 저렇게 강력하게 나오면 좀 협의해보려는 의향이라도 있어야 되는 게 아니냐"고 했다.

민주당에 대해선 "이 대표를 지지해서 뽑는다기보다는 그냥 현 정권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딱히 좋아하지 않는다. 파면 팔수록 새로운 비리가 나오는 게 실망스럽긴 하다"고 했다.

보수성향인 김도훈씨는 "윤 대통령은 초반엔 도어스테핑도 하고 검찰 이미지와 정반대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지만 각종 인사나 측근 의혹에 대한 조사를 하지 않는 점에 실망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권교체를 원하진 않지만 경고는 필요할 것 같다"며 "그런데 이재명 대표가 의기양양한 것도 보기 싫은데 어찌 해야 하나"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5일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를 방문, 의료진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4.05. /사진=뉴시스

"보수·진보 구분이 무슨 의미, 이분법적 구분 싫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겸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이 5일 오전 충북 옥천공설시장에서 이재한(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군) 후보 지원유세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구민지씨(23·여)는 "수학과 전공생인데 R&D(연구개발) 예산 삭감에 실망해서 현 정부는 아니다 싶었다"며 "그래서 국민의힘보다 민주당을 더 지지하긴 하는데 그렇다고 중국이 좋은 것도 아니라서, 진보 보수 중에 뭐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무효표라도 찍어서 의사표현을 해야 할지 고민이다. 투표를 안 하면 민주시민이 아니란 소리를 들을까 봐 켕기는 마음이 있다"고 했다.

윤수민씨(27·여)는 "효능감이 사라진 청년들에게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모두 그저 이권에 미친 정치인들일 뿐"이라며 "나도 보수라고 말하지만 이분법적으로 구분당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하지만 이들은 아직 지지 대상을 결정하지 못했을 뿐 결코 정치 '무관심층'은 아니었다. 16명 모두 무효표를 찍는 한이 있어도 투표장에는 꼭 가겠다고 했다. 박철우씨(28)는 "무관심층이 늘어났다는 건 모르겠고 무당층은 늘어났다고 본다"며 "이준석 대표의 등장으로 2030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 자체는 높아졌다. 아젠다가 다양해지고 개인의 이익투표 성향이 나타나면서 부모님의 성향을 따르지 않고 본인 기준대로 판단하는 이들이 많아진 것"이라고 했다.

일부는 제3지대로 눈을 돌리고 싶지만 사표가 고민이다. 자신을 무당층이라 밝힌 안민준씨(26)는 "예전에 정의당 심상정 후보를 찍은 적이 있는데 아무 효력이 없는 사표가 되니까 쓸모없는 표라는 생각이 들어서 기분이 좀 그랬다"며 "무효표를 던질 수도 있는데 고민"이라고 했다.

"심판론 너무 지겨워"
올해 총선의 연령대 별 유보층 현황/그래픽=이지혜
2030은 대체로 이번 총선 판을 휩쓸고 있는 '정권 심판론'과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 모두에 부정적이었다. 취업과 직장 적응 등으로 하루하루 바쁜 청년들에겐 자신들의 삶과 무관한 주제일 뿐이다.

안씨는 "심판론 자체가 너무 지겹다. 양쪽에서 자꾸 심판한다는데 솔직히 대한민국 정치 역사에서 맨날 심판한다고 하고 뭐가 제대로 된 적이 있나"라며 "우린 이런 정책으로 이렇게 변화시키겠다고 해야 하는 게 아닌가"라고 토로했다.

김진경씨(37·여)는 "민주주의 원리에 따라 균형을 위한 견제는 필요하지만 A가 못한다고 B가 잘 한다는 보장이 있나? 거대 양당 중 한 쪽을 벌하려고 다른 쪽을 뽑는다는 논리에 동의를 못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2030은 성장은 없고 변화는 빠른 시기에 살고 있잖나. 먹고살기 힘든 마당에 정치인들끼리 세력 싸움 하는 거 보면 되게 피곤하다. 그래서 공정, 경쟁 이런 키워드에 더 반응하는 것 같다"고 했다.

윤씨는 "지금의 정치는 서로를 적으로 규정하고 매번 반대편을 향해 총질하기 바쁜 것 같다"며 "분노가 정치를 뒤덮으면 실제 민생에 필요한 정책들은 후순위로 밀려나 실용적인 정책을 위해 고민하고 피드백하는 활동들이 국민의 관심을 받지 못하게 된다"고 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제22대 총선 사전투표일인 5일 서울 동작구 ‘국민의힘으로 동작살리기' 지원유세에 나서고 있다. /사진=뉴스1
정당·진영 충성도 낮은 2030…"합리적·민생 정책입법 희망"
정치권을 향한 2030세대의 요구는 정당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기성세대보다 까다롭다. 전반적인 교육수준이 높은 데다 군부독재, 학생운동 등 공통의 경험이 적어 한 세대 내에서도 성별, 직업, 계층별로 분화돼 있다. 이념보단 실용적인 이익에 반응하지만, 지지하던 정당이라도 합리성이 떨어지는 정책이나 주장엔 거부 반응을 보인다.

전민우씨(32)는 "우리 세대는 진보나 보수 이런 정치적 성향이 센 사람이 많이 없다"며 "그러니 합리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많은 사람들의 삶을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입법이나 정책들을 잘 낸다면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안씨는 "나는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게 아니고 가치관이 조금씩 변하면서 그에 맞는 정당을 선택하게 됐다. 진영, 정당만 보고 난 여기를 지지해야겠다 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며 "A라는 정당이 B라는 발언을 했을 때 그 발언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그게 내 가치관과 맞는 정당이더라도 절대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도훈씨는 "정치권은 언제까지 시장 가서 쌈 한 번 얻어먹는 일로 표를 얻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는 건가"라며 "시장, 대학가 다니는 쓸데없는 시간 허비하지 말고 그렇다고 탁상공론만 하지 말고"라고 했다. 이어 "(공약이) 구체적인 중장기적 로드맵을 제시하는 데가 없다"며 "공수표가 돼도 좋으니 던지려면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생각해보고 말을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2030 세대가 말하는 각 당이 청년을 사로잡지 못하는 이유/그래픽=윤선정
2030이 원하는 공약은…"저출생 해결한다면 표 준다"
청년들이 최우선으로 원하는 정책은 실효성 있는 출생율 대책이었다. 16명 중 무려 4명이 출생율 문제만 해결하면 어느 정당이든 관계 없이 투표할 것이라고 했다. 결혼·출산을 앞뒀거나 진행 중인 2030세대가 당면한 가장 큰 과제이면서 국가의 미래 생존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고운씨(27·여)는 "요즘 들어 어떤 정당이어도 상관 없으니 저출생 문제를 해결해줄 인재가 나타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성철씨(27)는 "여당이든 야당이든 급한 것 먼저 얘기를 했으면 좋겠다"며 "맨날 출산율 낮다고만 얘기하고 어떻게 해야 한다고는 말을 안 하지 않나. 출산율이 지원금 갖고는 해결이 안 될 거라 생각하는데, 당장 3년, 5년만 지나면 광역시 하나가 초등학교 한 두 개로 커버된다고 하지 않나"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박소연 기자 soyunp@mt.co.kr 오석진 기자 5stone@mt.co.kr 이병권 기자 bk223@mt.co.kr 정진솔 기자 pinetree@mt.co.kr 천현정 기자 1000chyunj@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